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 영향 요인

이용수 1350

영문명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Frailty among the Vulnerable Social Group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박진경(Park, Jin Kyoung) 김순례(Kim, Soon-Lae)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4권 3호, 441~456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2012년 S시 일개 구의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65세 이상 노인 1,835개의 자료를 이차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는 노인의 건강차원을 신체건강(만성질환 및 비만), 정신건강(우울 및 인지상태), 기능적 건강(운동능력, 자기관리능력, 일상생활능력, 저작 불편감, 자연치아 개수) 및 주관적 건강수준으로 구분하여 각 건강차원별로 허약점수를 평균차이 및 사후검정하였다. 노인의 허약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성노인보다는 여성 노인(p<.001)이, 70세 이하 노인보다 75세 이상 노인(p<.05)이, 질환이 하나도 없는 노인보다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p<.001)이, 저체중과 정상체중 노인이 과체중 노인보다(p<.05), 저작불편이 있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p<.001), 치아가 10개 미만인 노인이 10개 이상인 노인보다(p<.05), 그리고 운동능력(p<.001), 자기관리(p<.001), 일상생활 능력(p<.001)에 문제가 있을수록 허약점수가 높았다. 또한, 인지저하가 있는 노인이 정상 노인보다, 중증 우울을 보인 노인이 경증우울 노인보다(p<.05), 그리고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쁠수록(p<.001), 허약점수가 높았으며, 노인의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한 결과에서, 우울은 노인 허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β=.259)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노인의 허약 예방프로그램을 위한 보건사업기획 시 이와 같은 변수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frailty among the vulnerable social group.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used the 2012 data of 1,835 participants of a home visiting service in 1 autonomous district in Seoul. After classifing into four categories, Physical health(chronic Dz. and obesity), Mental health(depression and cognitive state), Functional health(Ability of Movement, Self-care, Daily activities, Chewing difficulty, numbers of teeth) and Self-rated health,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female(p<.001), age>75(than age<70, p<.05), having chronic dz.(p<.001), low and normal body weight(than the overweight, p<.05), having problems of Movement(p<.001), Self-care(p<.001), Daily activities(p<.001), chewing difficulty(p<.001), number of teeth <10(p<.05), the cognitive impairment(p<.05), lower self-rated health(p<.001) elderly were higher Frailty score than the counterpart. Also, having the severe-depression elderly were higher Frailty score than the mild-depression elderly, and two groups showed the high score Frailty than non-depression elderly(p<.05).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Frailty among them was depression(β=.259). We recommend the further developing of educational and interventional programs using these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elderly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frailty.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진경(Park, Jin Kyoung),김순례(Kim, Soon-Lae). (2014).취약계층 노인의 허약 영향 요인. 한국노년학, 34 (3), 441-456

MLA

박진경(Park, Jin Kyoung),김순례(Kim, Soon-Lae).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 영향 요인." 한국노년학, 34.3(2014): 441-4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