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택영의 문학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정체성

이용수 171

영문명
A study on the Diaspora and Identity in Kim Taek-Young's literature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곽미선(Guo, Mei-Sho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0권, 335~367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滄江 金澤榮(1850~1927)은 구한말을 대표하는 문인 가운데 한사람으로서 한국 근대사상 연구에서 중요한 인물로 부각된다. 이 논문은 창강의 문학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창강의 디아스포라한 의식을 고찰하기 위하여 유민정서의 표출과 귀향의지의 고취, 고통의 실체와 민족상실감의 극복, 망명지에서의 현실대응과 문화적 정체성 찾기 등으로 나누어 조명하였다. 창강은 남통이라는 망명지에서 流民생활의 외로움을 느끼면서 조국의 역사와 문화를 부여잡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이러한 현실적 상황을 극복하고자 해외로 망명갔던 여타의 문인들과 마찬가지로 歸鄕의지를 고취하였지만 현실의 벽에 부딪혀 고통과 상실감만 느꼈다. 민족의 상실감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창강은 중국으로의 歸化를 신청하였는데 자신의 편안함을 추구하고자 한 것이 아니었다. 그는 중국과 조선을 기자의 후손으로 인식하면서 민족을 위하여 새로운 출로를 모색하고자 이 길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망명지에서 문화적인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조국의 역사서와 조선문인들의 문집들을 편찬하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중국 지식인들의 도움으로 문집을 널리 간행할 수 있었는데, 창강의 노력으로 이루어진 이러한 성과는 조선의 문화를 중국에 널리 알리는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디아스포라는 창강에게 많은 상실과 아픔을 안겨주었다. 하지만 창강은 디아스포라를 경험하면서 한말 지식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다져갈 수 있었고, 망명지에서 해야 할 일들에 전념하면서 조국을 위하여 유익한 일들을 해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Chang-Gang Kim, Taek-Young(1850~1927), who was a representative writer in latter era of the Chosun Dynasty, is now observed as an important person in the study of modern ideology in Korea. This thesis was planned to consider the diaspora and identity which has been revealed in his literature. To focus on his consciousness of diaspora, this thesis separately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displaced sentiment, the substance of anguish, the conquest of the national loss, the countermove to reality as an exile, and the search of cultural identity. Chang-Gang felt the loneliness as an exile in Nam-Tong, but continuously tried to carry a strong emphasis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his mother country. To overcome the circumstances, he inspired the will of returning to homeland, but felt the pain and the loss because of realistic restriction. He apllied for a naturalization to escape from the feeling of the national loss, but it was not for his own comfort. He recognized China and Chosun as the same descendants of Gi-Ja, so he choose this way to find the new way-out. He focused on efforts to compile historical books and collections of works of Chosun, to ensure the cultural identity while living as an exile. He could publish books extensively by the help of chinese intellectuals, and this accomplishment became a very important key to inform the culture of Chosun Dynasty in China. The experienc of diaspora has brought a great deal of pain and loss to Chang-Gang. But he could establish his identity as an intellectual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un Dynasty by that experience, and also could do profitable works for his mother country by focusing on tasks to do as an exile.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김태영의 정체성 형성 - 왜 디아스포라인가?
3. 김택영의 문학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
4. 나오는 말 - 디아스포라 문학의 진정한 정체성을 위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미선(Guo, Mei-Shon). (2009).김택영의 문학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정체성.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0 , 335-367

MLA

곽미선(Guo, Mei-Shon). "김택영의 문학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정체성."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0.(2009): 335-3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