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ㆍ녀 노동요에 나타난 의식과 그 차이

이용수 192

영문명
Consciousness Revealed in Regional Traditional Men's and Women's Work Song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Based on experimental discussions about men's and women's consciousness focusing on traditional folk work songs for weeding rice paddy and spinning hemp in Gyeongbuk provincial area-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이정아(Lee, Jung-Ah)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0권, 225~248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남성 노동요에 나타난 의식과 여성 노동요에 나타난 의식을 비교 대조하여 기존 논의가 포착하지 못한 남성 의식을 규명하고 이를 근거로 남녀 노동요에 나타난 의식의 차이를 드러내는 것을 논의의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한국민요대전』 경북편에 수록된 논매기 소리와 삼삼기 소리를 대상 자료로 한정하여 이들이 담고 있는 사설의 주된 내용을 정리했다. 논매기 소리가 주로 노동현장의 고통과 노동자의 고달픈 심정을 담고 현실적인 소망을 표현하는 반면 삼삼기 소리는 노동의 현실과는 상관없는 허구적 상황을 노래에 담고 있어 비현실적인 일면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양자 모두 자신이 처한 타자적 상황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기반으로 한 노래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이들이 가진 의식의 차이는 그들이 속한 사회적 환경과 밀접한 관련을 보이는데 남성이 지배이데올로기에 순응해가면서 노래를 통해 드러내야할 저항이나 갈등을 은폐하거나 위장하는 경향을 띠는 반면 여성은 현실적 실리나 이념과는 거리가 있는 허구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자신이 꿈꾸는 세계를 노래로 재현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nsciousness revealed in regional traditional men's work songs with women's ones, so that it could examine into men's consciousness untargeted by prior studies and demonstrate differences in consciousness between men and women as revealed between their regional traditional folk work songs. To meet the goal,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traditional folk work songs for weeding rice paddy and spinning hemp, which are contained in a CD volume titled Gyeongbuk province in 'the Encyclopedia of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1991~1996).' And this study sought to outline major considerations of narration contained in these work song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aid folk work songs for weeding rice paddy were mainly to reflect pains of hard labor on the field and workers' weary sentiment and express their realistic wishes, whereas the said folk work songs for spinning hemp were mainly to rhyme fictitious contexts without regard to reality of hard labor, revealing unrealistic aspects. But both the former and latter songs share a common point in a sense that they are all based on unambiguous knowledge about objective contexts of poor farm workers on the field. Particularly, it is found that certain differences in consciousness between men's and women's work song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ir respective social environments. That is, men's work songs tend to comply with hegemony ideology and conceal or disguise any resistance or conflict that they could otherwise intend to reveal through songs. On the other hand, women's work songs tend to employ fictitious imagination far from realistic benefit or ideology and intend to reproduce their dream world in the rhyme of song.

목차

<국문 초록>
1. 들어가며
2. 논매기 소리에 나타난 남성의식
3. 삼삼기 소리에 나타난 여성의식
4 . 남ㆍ녀 노동요에 나타난 의식과 그 차이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아(Lee, Jung-Ah). (2009).남ㆍ녀 노동요에 나타난 의식과 그 차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0 , 225-248

MLA

이정아(Lee, Jung-Ah). "남ㆍ녀 노동요에 나타난 의식과 그 차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0.(2009): 225-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