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통과 치유를 꿈꾸는 상상력, <숙향전>
이용수 893
- 영문명
- Imagination, dream of communication and healing,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김수연(Kim, Soo-Youn)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3권, 429~459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숙향전>은 원초적 신화성을 담지한 환상소설이다. 부모에게 버림받은 숙향은 반복되는 고난을 거치면서 정신적 육체적으로 성숙하다. 고난의 여정은 초월적 존재와 자연적 존재의 조력을 받아 신인적 능력을 획득하는 득선의 과정이다. 숙향의 득선과정은 요지연을 전환점으로 하여 돌아오는 여행구조로 이루어진다. 요지연까지의 길은 속세의 나약한 존재인 숙향이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 선도를 이루는 수련 과정이다. 그 과정을 거쳐 숙향은 신들의 모임인 요지연에 참석할 수 있게 되고 그곳에서 자신의 본연, 즉 전생에 천상 선녀였음을 확인한다. 요지연에서 다시 속세로 돌아오는 길은 지상선의 성격을 지닌 숙향이 선업(善業)을 닦는 과정이다. 선업은 보은의 방식으로 이루어지지만 단순한 보은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선업을 통해 숙향은 죽어가는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치유력을 획득한다.
숙향의 득선 과정이 전개되는 공간은 세속적 세계에서 초월적 세계로 이어지는 곳이다. 그녀가 득선 여행에서 만난 대상은 사슴과 청조와 같은 자연적 존재와 신인 등 초월적 존재들이다. 현실 공간에서 자연적 존재들과 소통하고 교감하는 것은 쉽지 않다. 초월적 존재들 또한 마찬가지다. 그렇기에 숙향이 그들과 만나는 공간은 일종의 환상 세계이다. 그런데 환상 세계는 현실에서 결핍된 것을 반영한다. 나약한 존재를 보호하고 자연과 소통하며 어울릴 수 있는 세상에 대한 소망이 만들어낸 세계는 각박하고 폭력적인 현실에 대한 대안공간으로서의 성격을 띤다. 대안공간은 말 그대로 현실에 대한 보상 내지 대안으로 상상해낸 세계이다. 동시에 현실과 분리된 천상 세계가 아니라 현실 영역에 존재하면서 초월세계와도 소통할 수 있는 세계이다.
숙향은 득선 여행을 통해 지상선이 된 후 더욱 선업을 닦아 그 신인성을 고양하였다. 서왕모로 대표되는 여신은 대개 생명을 불어넣거나 죽음을 치유하는 능력을 지닌다. 숙향 또한 득선과정에서의 수련과 선업으로 여선의 치유력을 회득하게 되었다. 한편 <숙향전>이 이선으로 하여금 마고선녀의 시험에 들어 숙향의 득선 여행 경로를 반복하여 겪게 한 것은 숙향의 치유력을 배우자인 이선과 공유하도록 한 것이다. 그로 인하여 황태후가 사경을 헤맬 때 이선이 구약의 임무를 맡을 수 있게 된다. 이선의 여행은 일견 신들의 속임수와 장난에 시련을 겪는 듯 보이나 실상은 신들이 조력자가 되어주고 더불어 즐기는 축제이다. 천상에 올라 신들과 축제를 즐기는 것은 이선이 천상신의 자격을 얻었음을 의미한다. 그렇기에 수련과 선업을 거친 이선과 숙향이 황태후의 죽음을 치유한 이후 승선할 수 있게 된다. 신화가 지니는 치유적 상상력이 서사무가로 전승되는 경우는 신화적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여 죽음을 치유하는 능력을 여성이 직접 발휘한다. 그러나 소설은 자신의 모태가 된 사회문화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다. 숙향이 황태후의 죽음을 구원하는 주체로 나서지 않고 뒤에서 이선을 보좌하는 데 머문 것은 <숙향전> 형성 당시의 사회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국문초록>
1. 문학적 상상력의 근원 : 신화정
2. 득선(得仙) 여행 : 수련과 선엽(善業)
3. 환상의 세계, 소망적 현실 : 대안공간
4. <숙향전>의 지향 : 교감과 치유
5. 남은 이야기 : 축제와 승선(昇仙)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야기판에서의 의사소통행위 양상 연구
- 실전 판소리의 그로테스크(Grotesque) 적 성향과그 미학
- 귀신의 형성조건에 대한 시론
- 첩 소재 노래에 나타난 여성의식
- 19세기 詞문학 유행의 배경에 대하여
- 소통과 치유를 꿈꾸는 상상력, <숙향전>
- <구운몽>과의 현대적 소통
- 악행(惡行)의 서사화 방식과 진지성의 문제
- <변강쇠가>의 성 담론 양상과 의미
- 『고금가곡』 내 「단가이십목」에 대한 고찰
- 조선후기 백이 수용의 한 양상
- <최치원>의 형상화 방식과 남ㆍ녀 주인공의 성적ㆍ사회적 욕망
- 『연의각』 장면ㆍ재담ㆍ서술의 독서 효과
- 19세기 소설사의 쟁점과 전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