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치원>의 형상화 방식과 남ㆍ녀 주인공의 성적ㆍ사회적 욕망
이용수 1117
- 영문명
- Study on the desire of
's hero and heroine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박일용(Park, Il-Yo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3권, 5~32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치원>의 구성은 남성 주인공 최치원이 율수 현위에 제수된 뒤, 쌍녀분의 주인들과 환상적인 만남을 나누고, 이튿날 아침 그 만남을 회상하는 장편시를 지으며, 귀국하여 은거한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는 이 작품이 주인공이 겪은 환상 체험을 내부로 하고, 체험 이전의 상황과 체험 이후의 상황을 외부로 하는 액자 형식을 지닌 소설임을 뜻한다.
남성주인공 최치원은 액자 내부에 해당하는 환상 체험을 통해서 여성 주인공들의 성적ㆍ사회적 욕망이 남성 중심적 성윤리의 폭압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그것들이 현실세계에서는 해소될 수 없는 것임을 이해한다. 그리고, 액자 밖의 현실 세계에서 그녀들과의 만남을 회고하여 그것의 의미를 성찰해 봄으로써, 그녀들과의 만남을 꿈꾸던 자신의 성적ㆍ사회적 욕망의 의미를 각성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사실은 <최치원>이 그간의 연구에서 이야기하던 것처럼, 남성주인공의 성적 욕망을 여성 주인공에게 투사하고 그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주인공 최치원을 ‘바람둥이’처럼 그린 작품이 아니라, 초기 애정 전기소설인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등과 같이 남성주인공이 여성주인공에게 투사된 자신의 욕망을 성찰함으로써, 여성주인공 뿐 아니라 남성주인공 자신의 성적ㆍ사회적 욕망의 현실적 의미를 각성해가는 과정을 그림 작품임을 뜻한다.
영문 초록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의 제기
2. 남성적 욕망의 투사체로서 우물(尤物)과 요귀(妖鬼) 그리고 여귀(女鬼)와 여선(女仙)의 형상
3. <최치원>의 형식과 주인공 최치원의 욕망 성찰 방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야기판에서의 의사소통행위 양상 연구
- 실전 판소리의 그로테스크(Grotesque) 적 성향과그 미학
- 귀신의 형성조건에 대한 시론
- 첩 소재 노래에 나타난 여성의식
- 19세기 詞문학 유행의 배경에 대하여
- 소통과 치유를 꿈꾸는 상상력, <숙향전>
- <구운몽>과의 현대적 소통
- 악행(惡行)의 서사화 방식과 진지성의 문제
- <변강쇠가>의 성 담론 양상과 의미
- 『고금가곡』 내 「단가이십목」에 대한 고찰
- 조선후기 백이 수용의 한 양상
- <최치원>의 형상화 방식과 남ㆍ녀 주인공의 성적ㆍ사회적 욕망
- 『연의각』 장면ㆍ재담ㆍ서술의 독서 효과
- 19세기 소설사의 쟁점과 전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