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과학교육 내실화ㆍ활성화 사업 효과 분석

이용수 180

영문명
Analysis of Science Education Enrichment Programs of Elementary Schools on Student Achievement
발행기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저자명
이광현(Lee, Kwang-Hyun) 김지하(Kim, Ji-Ha)
간행물 정보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2권 제3호, 29~58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부의 특별교부금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과학교육 내실화ㆍ활성화 사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생수준의 자료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2008, 2011년도 「학교교육수준 및 실태 분석」을 사용하였고 학교수준 자료로는 한국학술정보원의 2009, 2010년도 「에듀데이터」를 사용하였다. 「학교교육 수준 및 실태 분석」자료로 이중차감모형을 적용한 결과, 과학교육 내실화ㆍ활성화 사업을 운영한 학교는 미운영 학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과학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에듀데이터」자료로 패널 임의효과 모형을 적용하여 사업 수행 여부가 과학보통학력이상 학생비율과 기초학력미달 학생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업운영 학교의 보통학력이상 학생비율은 미운영 학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기초학력미달 학생비율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업초기, 시설위주의 하드웨어 구축에 대한 집중투자에서 중ㆍ장기적으로는 인적자원과 소프트웨어 개발 등에 초점을 두고 추진되어 온 과학교육 내실화 사업이 소기의 사업목적을 달성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과학교육 활성화 사업은 초등학생들이 방과후 실험실습위주의 과학수업에 노출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실제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 수준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과학교육 내실화ㆍ활성화 사업의 효과가 교육소외계층인 기초학력미달 집단에서 미미하다는 점은 향후 과학교육 내실화ㆍ활성화 사업의 세부사업으로 기초학력미달 학생들을 위한 지도역량 강화 부문도 사업내용에 포함되어 예산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cience education enrichment programs(SEEPs) supported by the special gran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elementary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We used 2008 and 2011 the status and level of elementary schools data surveyed by KEDI, and 2009 and 2010 Edudata which is school level national data by KERIS. The results adapting difference-in-difference model for the status and level of elementary schools data revealed that schools implementing the SEE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ience achievement. The analysis applying the random effect model for Edudata displayed that schools performing the SEE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ratio on the average academic capability students, however failed to decrease the ratio of below basic academic level students. These results illustrated that SEEPs which invested the hardware in the early stage and human resources and software development in the mid and long term accomplished the aim of the programs. In addition, we evaluated that the SEEPs which provided various after school science classes focusing on science experiment and exercise programs for the elementary students improved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level. However, the SEEPs did not decrease the ratio of below basic academic level students.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SEEPs to include specific programs for the below basic academic level student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광현(Lee, Kwang-Hyun),김지하(Kim, Ji-Ha). (2013).초등학교 과학교육 내실화ㆍ활성화 사업 효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2 (3), 29-58

MLA

이광현(Lee, Kwang-Hyun),김지하(Kim, Ji-Ha). "초등학교 과학교육 내실화ㆍ활성화 사업 효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2.3(2013): 29-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