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사회적 위험 변화와 가족위험

이용수 3126

영문명
Changes in Social Risk Structure and Family Risk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영란(Kim, Young-Lan)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6집 2호, 151~188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86년 독일의 사회학자 벡(Beck)은 <위험사회>를 통하여 위험은 현대사회를 진단하고 분석하는 중요한 이론적 개념이 되었다. 위험은 국가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오기도 하며 신/구사회적 위험이 중첩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1990년대 한국은 세계화에 따른 노동시장의 불안정성(노동시장의 유연성, 비정규직 증가, 청년실업, 장기실업, 근로빈민증가 등) 및 기업의 해외이전, 아웃소싱 등의 증가로 인한 다양한 계층의 직업불안정과 가족의 불안정성(이혼의 증가, 여성의 사회참여와 아동・노인에 대한 보살핌 한계 등)은 가족의 전통적 보호능력 침식과 대안부재 등의 위험을 가져왔다. 21세기 사회적 위험 중 가장 위험한 것은 가족위험으로 1) 노동시장과 가족과 연계된 가족위험, 2) 가족자체의 위험으로 이혼 등 가족해체에 따른 한부모가족 증가 및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따른 남성생계유지자모델의 약화, 이인소득자가족내의 새로운 긴장, 중산층 가족의 불안정성, 3) 가족성원의 위험으로 청년층 실업에 따른 부모의존성 증가 및 결혼, 자녀출산 등 통과의례의 지연, 가정내 자녀와 노인 등에 대한 돌봄기능 약화 및 일-가정 양립의 문제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가족위험의 스펙트럼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3년 11월~12월에 걸쳐 서울 경인지역 650명을 대상으로 가족위험과 관련하여 신/구사회적 위험에 대한 인식, 위험경험, 위험 대응관련 박탈감, 가족가치 등에 대해 경험적 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위험은 노동시장 위험과 연계된 위험이 증가하였으며 가족위험의 극복능력은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돌봄의 책임은 자신과 가족 등 사적인 부문에 책임을 두고 있으며 위험대응은 주로 자조와 시장보험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가족위험 경험, 위험대응 관련 박탈감 등은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하층으로 갈수록 가족위험경험, 대응관련 박탈감 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국가는 가족위험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위험의 가능성을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가족안전망으로서의 뉴딜(new deal)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Risk’ has become the important theoretical concept to examine and analyze the modern society since German sociologist Ulrich Beck introduced ‘risk' of modern society through his book called “Risk Society” in 1986. According to each country, risks in turn occur or new social risks overlap with old social risks. In the 1990s, South Korea has come new risks of instability in labor market due to globalization (i.e. flexibility of labor market, an increase of non-regular workers, youth unemployment, long-term unemployment, and an increase in working poor) and corporate offshoring, outsourcing of various levels due to an increase in job insecurity and instability (i.e. limit of women's social participation and their care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caused the alternative risk of family's traditional ability to protect the erosion of family members. Risk of family, the most dangerous in the social risks of the 21st century in particular, currently states: 1) the labor market and family risks associated with the family, 2) the risk of the family itself, for example, increase of the divorce and family breakdown causing the increase of single-parent families,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weakens the sustenance of the male roles, the new tension in dual earner family, instability of middle class families, and 3) the risk of family members, that is, increase of dependency on parents caused by youth unemployment, delay of a rite of passage such as marriage and child birth, the decline of in-home care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and the problem in compatibility between work and family. As the result, the spectrum of the family risk appears to be gradually widened.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from 650 people in the region of Seoul and Kyung-in between November to December 2013. The survey was associated with a risk of family in which it empiricall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old / new social risks, the experience of risks, the risk management, the sense of deprivation related to response of risks, family values and etc. The study shows that family risk has increased the risk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the labor market and that it does not include the capability of overcoming the risk of the family. In addition, the responsibility of taking care of family, including himself and his family, is kept as the personal sector, and the self-help and insurance are primarily used on response of risk. In case of deprivation and experience of family risk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opulations, and the lower social status is, the higher experience of family risks and the sense of deprivation based on response to risk are. In the future, the nation must arrange the New Deal policy as a safety net for family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family risk, to ensure systematically the possibility of risk.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사회적 위험구조의 변화와 가족위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란(Kim, Young-Lan). (2014).한국의 사회적 위험 변화와 가족위험. 가족과 문화, 26 (2), 151-188

MLA

김영란(Kim, Young-Lan). "한국의 사회적 위험 변화와 가족위험." 가족과 문화, 26.2(2014): 151-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