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rticulation Patterns of Children who Developed Articulation Disorders Associated with Ankyloglossia

이용수 174

영문명
설소대를 동반한 조음장애 환아의 조음양상
발행기관
대한소아신경학회
저자명
박선영(Sun-Young Park) 심선희(Sun-Hee Shim) 장은실(Eun-Sil Jang) 엄태훈(Tae-Hoon Eom) 김영훈(Young-Hoon Kim) 이순주(Soon-Ju Lee)
간행물 정보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21권 제3호, 111~119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의약학 > 소아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 설소대와 조음장애의 관련성과 설소대 환아에서 조음장애 유무를 감별하는데 필요한 임상지침을 제시하기 위해 조음장애를 동반한 설소대 환아의 조음양상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의정부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를 방문한 124명의 환아 중 설소대를 제외한 다른 조음기관의 해부학적 이상, 신경학적 질환이나 발달/언어지연을 가진 46명의 환아를 제외한 총 78명을 설소대 유무에 따라 각각 환자군 23명과 대조군 55명으로 나누어 그림자음검사를 통해 조음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 두 군에서 조음오류를 보인 자음유형에 따라 집계한 각 환자수는 연구개비음의 경우에만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자음유형에 따른 조음오류의 환자별 관찰빈도수의 총합은 양순파열음, 연구개파열음과 연구개비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음오류의 변화유형에 따라 집계한 환자수는 두 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조음변화 유형에 따른 환자별 관찰빈도수의 총합은 환자군에서 전설음화와 마찰음화가 낮게 관찰되었고, 경음화와 격음화과 높게 관찰되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설소대를 동반한 조음장애 환아의 일부에서 해부학적 이상을 동반하지 않은 기능적 조음장애 환아와 구별되는 특징을 보이는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지만, 이를 설소대를 동반한 모든 조음장애 환아로 일반화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설소대와 조음장애의 관련성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또한 수술적 치료를 포함한 설소대 치료를 결정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We investigated articulation patterns in children with ankyloglossia who developed articulation disorder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kyloglossia and articulation disorders, and to clinically detect children who have articulation disorders associated with ankyloglossia. Methods :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3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that accompanied ankyloglossia and 55 controls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independent of anatomical problems, who were admitted to our hospital from January 1, 2002 to December 31, 2012. All children underwent speech-language pathologic evaluation using the Picture Consonant Articulation Test (PCAT; Young-Tae Kim, 1994). We retrospectively compared collected data between the subject and control groups using Fisher's exact test and odds ratio tests with a 95% confidential interval for categorical variables and the independent Mann-Whitney U-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Results :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rticulation errors in the velar nasal was lower significantly only in the subject group (P =0.038). The total numbers of articulation errors in the bilabial plosive, velar plosive and velar nasal also were lower (P=0.007, P˂0.001, and P=0.034, respec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patients with articulation errors according to phonological chang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total numbers of fronting and frication were lower in the subject group (both P˂0.001), but the total numbers of plosivation and tensing were higher (P =0.002 and P =0.008, respectively).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rticulation disorder and ankyloglossia is doubtful, although some results suggest that ankyloglossia may cause articulation errors only in certain individuals. Therefore, clinicians should be careful whe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kyloglossia and articulation disorders and use caution when making a treatment decision.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국문요약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영(Sun-Young Park),심선희(Sun-Hee Shim),장은실(Eun-Sil Jang),엄태훈(Tae-Hoon Eom),김영훈(Young-Hoon Kim),이순주(Soon-Ju Lee). (2013).Articulation Patterns of Children who Developed Articulation Disorders Associated with Ankyloglossia.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21 (3), 111-119

MLA

박선영(Sun-Young Park),심선희(Sun-Hee Shim),장은실(Eun-Sil Jang),엄태훈(Tae-Hoon Eom),김영훈(Young-Hoon Kim),이순주(Soon-Ju Lee). "Articulation Patterns of Children who Developed Articulation Disorders Associated with Ankyloglossia."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21.3(2013): 111-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