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추사의 서예인식과 그의 행서특징 연구

이용수 265

영문명
A Study on Chusa Kim Jeonghui's Calligraphy Awareness and his HaengSeo Features -Expecting the Auxiliary Function of Handwriting Authenticity Appraisal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심현섭(Sim, Hyun-sup)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4호, 116~14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추사 김정희의 서예인식과 그의 행서체에 대한 조형적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핵심 내용은 추사의 서예인식과 심미의식 및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白坡碑-陰記>와 <蕅樞續展>이라는 간찰의 서체미를 점획ㆍ결구ㆍ장법으로 나누어 분석한 것이다. 추사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자랑스럽게 내놓을 수 있는 가장 뛰어난 예술가의 한 사람이다. 금세기 들어 일어난 한류열풍이 더욱 확산 지속되기 위해서는 우수하고 아름다운 우리만의 전통문화가 튼실하게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그러한 면에서 추사의 서예작품은 매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추사는 서예라는 독특한 예술장르를 통해서도 유학의 본령인 聖門의 최고 경계에 도달할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을 보여주었다. 추사는 최고의 예술적 심미경계는 神妙한 기운이 깃든 예술작품에서 발현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그의 서예인식과 심미의식은 예술에 대한 동양전래의 '道本文末'적 패러다임을 바꿔놓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추사행서의 점획은 기본 필법을 충실하게 지키며 조금도 소홀히 처리한 부분이 없다. 太細長短의 변화가 매우 크며 금강력사가 쇠공이를 들고 모래사장을 긋는 듯한 剛健美를 보여준다. 추사행서의 점획은 陰柔美보다는 陽剛美가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결구의 특징은 보편적으로 상부는 소원하고 하부가 조밀하며(上疎下密), 좌부는 짧고 우부가 긴(左短右長) 결합 형태를 보여준다. 기둥 획은 매우 굵고, 두 직획이 있는 경우 좌획 보다 우획이 굵으며, 왼쪽이 짧으면 위쪽이 가지런하고 오른쪽이 짧으면 아래쪽이 가지런한 결구의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대체로 그렇다는 것일 뿐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추사는 전체의 아름다운 조화를 가장 우선시하였다. 진정한 추사행서의 결구미는 이런 점에 존재한다고 해야 옳을 것이다. 추사행서의 장법 특징은 자간은 조밀하고 행간은 넓으며 글자의 크기 변화가 매우 심하면서도 전체가 잘 어울리는 영활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특히 글자의 대소차이는 거의 5:1 정도나 되는 경우도 흔하며 필획의 태세 또한 그 변화무쌍함이 범인의 상상을 초월한다. 각 행의 중심축선은 대개 수직을 이루지만 자연스럽게 약간의 流動性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심미적 요소들이 한 화면에 종합적으로 어울릴 때 추사의 작품은 빛이 난다. 이에 해당하는 작품이 <백파비>와 <우추속전>이라 할 수 있다. 추사 행서의 장법미는 大小廣狹의 靈活美가 발현된 최고의 심미경계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이러한 일련의 추사행서의 특징은 그의 '格聖門論'적 서예인식과 '致神妙境'적 심미의식이 점획ㆍ결구ㆍ장법에 골고루 발현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추사체의 가치는 무조건 추사의 진적이라고 해서 인정받을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추사체의 면모가 확실하고 또 수준 높게 발현된 작품만이 진정한 추사체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study Chusa Kim Jeonghui's calligraphy awareness and formative features about his Haengseoche. The core contents are to analyze Chusa's calligraphy awarenes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and calligraphic aesthetics of Ganchal (letters) called and that can be called as major works by classifying them into tittleㆍstructureㆍ composition technique. Chusa i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artists who can be presented proudly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In order to further spread and sustain the Korean Wave that happened in this century, our own excellent and beautiful traditional culture should support it solidly and Chusa's calligraphic works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at respect. Chusa showed an unshakable faith that one can reach the highest level of the holy gate, the specialty of Confucianism through the unique genre of art called calligraphy. Chusa thought that the highest artistic aesthetic level is expressed from art works with mysterious aura and his calligraphy awareness and aesthetic awareness became a great opportunity to change the 'Dobonmunmal (A literature is just a tool to express the truth)' paradigm that has been handed down in the East about art. The tittle of Chusa HaengSeo is to faithfully keep the basic calligraphic technique and never treats any trivial part carelessly. Taesejangdan (Large, thin and long, short) varies greatly and it shows the sturdy beauty like Vajrapani draws the sandy beach with his iron pestle. It can be said that strong yang beauty is more remarkable than yin soft beauty in the tittle of Chusa HaengSeo.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show the combined form that the upper part is distant, the lower part is dense, the left part is short and the right part is l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are as follows; The column strokes are very thick and if there are two straight strokes, a right stroke is thicker than a left stroke and if the left is short, the upper side is even and if the right is short, the bottom is even. However, this is often the case, but not always. Chusa gave priority to beautiful harmony of the whole. It will be right to say that true structural aesthetics of Chusa HaengSeo lies in this point. The features of the composition technique of Chusa HaengSeo show the wonderful beauty that space between letters is dense, space between the lines is wide, the size of letters varies greatly and the whole is harmonized well.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large and small size of letters is almost 5:01 and the types of strokes or ever-changing are beyond the imagination of ordinary people. The central axis of each line usually forms perpendicularity but often shows slight liquidity naturally. When these aesthetic elements are comprehensively harmonized in a picture, Chusa's works shine by themselves. and can be said to be the corresponding works. The composition technique beauty of Chusa HaengSeo shows the best aesthetic boundary most satisfactorily in which the wonderful beauty of Daesogwanghyeop (Big, small, wide and narrow) is expressed. We think that the value of Chusache cannot be recognized for a reason that it is just Chusa's real trace. Only works in which the aspect of Chusache is certain and expressed at a high level should be valued as true Chusache.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추사의 서예인식
Ⅲ. 추사 행서의 서체미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현섭(Sim, Hyun-sup). (2014).김추사의 서예인식과 그의 행서특징 연구. 서예학연구, (24), 116-148

MLA

심현섭(Sim, Hyun-sup). "김추사의 서예인식과 그의 행서특징 연구." 서예학연구, .24(2014): 116-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