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觀我齋 趙榮祏의 書畵美學思想 硏究

이용수 187

영문명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of Gwanaje Jo Young seok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한경애(Han Kyung Ae)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4호, 56~8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趙榮祏(觀我齋, 1686-1761)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士人화가로 한국 회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이며, 조선 후기 회화사에 있어 주체적 자각과 조선적인 것에 대한 새로운 기풍을 조성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조영석의 회화에서는 전통적인 방식과 진보적인 시각의 경향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조선 중기까지의 회화의 인식의 틀에서 크게 벗어난 것으로서, 회화의 교화적 기능과 감계적 기능에서 실리적이고 효용론적인 기능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유가적 사유의 틀에서 본다면 玩物喪志로부터 벗어나 객관적 태도로 대상을 파악하려고 했다는 의미로서 해석할 수 있다. 조영석 예술세계의 미학적 의미는 인간본성의 체현과 정형과 파격의 조화라고 할 수 있다. 조영석은 전통적으로 제한된 소재를 창작활동으로 표출함으로써 인간의 본성과 현실적 가치들을 폭넓게 표현했으며, 인간이 갖추고 있는 보편적 理를 파악하여 표출했다. 따라서 조영석의 회화에 있어 주목할 것은 雅趣있는 엄격함을 지향하는 반면 親人性을 강조하는 통속적인 자유로움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양면성은 정형과 파격의 미로 표출되는바, 이는 전통과 현실의 조화라는 이중적 구조로 해석할 수 있다. 조영석은 조선 후기의 급변하는 시대적 조류 속에서 사대부로서 자신의 위상을 견지하고 자신의 의지를 당당하게 펼친 진정한 사대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유가적 정신은 후대의 예술가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새로운 유행을 촉발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Cho Young Seok (Gwan-A-Jae, 1686-1761) is an important figure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s as one of the literati painters who represent the late Chosun period. He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creating a new style about self-awareness and characteristic of Chosun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s in the late Chosun period. In the paintings by Cho Young Seok, both traditional methods and progressive perspective could be observed. Such characteristics are large deviations from the perceptional framework of paintings up to middle age Chosun, marking a transition from educational and didactic function to practical and pragmatic function. Also, it also may be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subject in objective attitude, breaking away from Wanmulsangji (玩物喪志) from Confucian framwork of reasoning. Aesthetical signification of Cho Young Seok's artistic world is the embodiment of human nature and the harmony of formality and unconventionality. Through expressing traditionally restricted subjected into his creative work, Cho Young Seok broadly expressed the human nature and practical values, as well as the universal reasoning of humans. Therefore, the fact that Cho Young Seok's paintings aims for elegant strictness while also carrying conventional freedom is noteworthy. Such double-sided character is displayed as the aesthetics of formality and unconventionality, which is also interpreted as a dual structure of harmony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reality. Cho Young Seok may be the true nobility of the late Chosun period who adhered to his status and gallantly carried out his wills against the rapidly changing tides of the times. Such spirit has influenced many artists in the generations that follow and inspired new trends.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觀我齋의 書畵美學과 審美意識의 형성 배경
Ⅲ. 感性과 審美의 조화로서의 書畵認識
Ⅳ. 傳統과 現實의 조화로서의 審美意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경애(Han Kyung Ae). (2014).觀我齋 趙榮祏의 書畵美學思想 硏究. 서예학연구, (24), 56-81

MLA

한경애(Han Kyung Ae). "觀我齋 趙榮祏의 書畵美學思想 硏究." 서예학연구, .24(2014): 56-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