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녕지역 신라금석문의 서풍

이용수 390

영문명
The Calligraphic Style of Silla Stelae in Changnyeong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정현숙(Jung, Hyun-sook)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4호, 24~5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창녕이 한국 고대사 속에서 차지한 위상은 문헌 자료뿐만 아니라 창녕에 남아 있는 여러 종의 신라 금석문이 말해준다. 본고는 창녕지역 소재 4종의 신라 금석문의 서풍과 그것이 전체 신라 서예의 흐름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가장 이른 <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는 삼국기의 것으로 자연석인 6세기 다른 신라비들과 마찬가지로 예서의 필의가 있는 해서로 쓰였다. 원만한 비의 형태와 어울리는 힘차면서 굵은 원필로 쓰여 비록 자연석이지만 왕의 위엄이 느껴진다. 둘째, 통일기인 8세기 전반에 새겨진 <觀龍寺龍船臺石佛臺座銘>의 글씨는 唐風을 닮아 驗硬하다. 이것은 7세기 말에서 8세기 초의 것으로 여겨지는 불상과 더불어 동시대의 불상 양식과 서풍을 보여준다. 불상의 규모와 산의 정상이라는 건립 위치로 인해 국가의 후원으로 세워졌을 것으로 여겨지는 웅장한 불상에 어울리는 정연한 해서는 통일 초 신라 서예의 특징이기도 하다. 셋째, 8세기 후반에 새겨진 <觀龍寺藥師殿石佛臺座銘>(772)의 글씨는 <관룡사용선대석불대좌명>과는 달리 <창녕비> 서풍과 유사하여 6세기 신라풍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9세기 초에 세워진 <昌寧仁陽寺造成碑>(810)는 行書의 필의가 있지만 <창녕비>를 닮은 질박한 해서로 쓰였고, 부분적으로 남북조의 필법도 지니고 있다. 이것은 <창녕비>의 서풍이 후대에 미친 영향을 설명한다. 이 4종의 신라 금석문은 두 가지 다른 풍의 서체, 즉 예서와 행서 필의를 지닌 고박한 해서, 그리고 정연한 해서로 쓰여 신라 서예 전체의 특징과 그 궤를 같이 한다. 동시에 통일기에도 고박한 신라 고풍이 주를 이룬 것은 창녕 서예의 정체성이다. 특히 창녕의 정치적 위상이 급격히 떨어진 8세기 후반 이후 창녕지역에서의 6세기 신라풍 복고는 전성기 창녕 재현의 표현일 수도 있다.

영문 초록

Both the materials of literature and several Silla stelae tell us the positional change of Changnyeong in the ancient Korean histor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lligraphic style of four Silla stelae in Changnyeong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flow of Silla calligraphy. Firstly, Silla Jinheungwang Royal Tour Stele in Changneong buil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earliest of the four, was written in the regular script with a feel of clerical script like other Silla stelae in the 6th century. Its strong and thick round brushstrokes show the dignity of king though written on the natural stone. Secondly,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Pedestal Inscription of the Stone Buddha of Yongseondae in Gwallongsa engraved in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was methodically arranged in Tang style. With the stone Buddha image made between the end of 7th and early 8th centuries, they displayed the Buddha image and calligraphic style of the time. The strict regular script in Tang style in harmony with the giant Buddha image considered as built under the support of government is a characteristic of calligraphy in early united period. Thirdly,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Pedestal Inscription of the Stone Buddha of Yaksajeon in Gwanllongsa in 772 was written in the simple regular script that is similar to that of Changneong Stele in the 6th century. Lastly, the calligraphic style of Inyangsa Stele with a feel of running script is also alike to that of Changneong Stele. The small difference is that it partially show the composition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 three above tell us the influence of Changneong Stele to the later period and characteristic of the united period calligraphy. The various features of the four Silla stelae in Changnyeong are the characteristic and identity of Silla calligraphy. The retro style of the 6th century Silla calligraphy after the second half of the 8th century when the political status of Changneong declined may especially represent the idea of reproduction of the heyday of Changnyeong.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고대사 속의 창녕
Ⅲ. 삼국기 <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의 서풍
Ⅳ. 통일기 觀龍寺ㆍ仁陽寺 비문의 서풍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현숙(Jung, Hyun-sook). (2014).창녕지역 신라금석문의 서풍. 서예학연구, (24), 24-56

MLA

정현숙(Jung, Hyun-sook). "창녕지역 신라금석문의 서풍." 서예학연구, .24(2014): 24-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