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성취도 및 향상도 결정 요인 분석

이용수 1969

영문명
Analysis of Determinants of Achievement and School Progress Index from NAEA 2011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김경희(Kyunghee Kim) 신진아(Jin Ah Shin)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7권 제1호, 109~139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력수준의 현황 및 향상 지표를 활용하여 학교의 성취도와 향상도를 결정하는 교육맥락변인을 탐색함으로써 단위학교의 학력변화와 나아가 학력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이하 학업성취도 평가)의 2011년 고등학교 2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국어, 수학, 영어 성취도와 향상도 수준에 따라 학교를 세 집단(높음, 보통, 낮음)으로 구분하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성취도와 향상도가 높은 학교를 결정짓는 교육맥락변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성취도가 높은 학교는 학교변인인 학교 SES가 낮고 학습부진 학생지도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교풍토가 높았다. 또한 학생변인인 가족과의 관계, 학교생활 만족도, 방과후학교 참여, 수업태도, 학업적 효능감, 교과흥미와 가치가 모두 높았다. 둘째, 향상도는 학교변인에 따라 집단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향상도가 낮은 학교는 학교변인 중 학생풍토가 낮았다. 또한 학생변인인 가족과의 관계, 학교생활 만족도, 방과후학교 참여, 수업태도, 학업적 효능감, 교과흥미와 가치가 대체적으로 모두 낮았다. 셋째, 성취도와 향상도가 높은 학교를 결정하는 변인을 살펴본 결과, 3개 교과 공통으로 성취도는 학교설립유형(국ㆍ공립),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방과후학교 참여, 학업적 효능감이었으며, 향상도는 학교설립유형(국ㆍ공립)과 학교성별유형(남학교)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method of educational support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by exploring contextual variables that are able to expect schools' achievement and school progress index utilizing the result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based on census test. To explore contextual variables determining achievement and school progress index above all, we divided achievement and school progress index of the assessment results of the second graders at high schools in 2011 into three groups(high, intermediate and low level),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students accordingly and explored contextual variables through multinomial logit model, which can expect groups with high or low achievement and school progress index.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high-achieving schools show low SES, operate various programs for teaching underachievers and their school climate is high. Also, these schools feature high level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t school,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class attitude, academic efficacy, subject interest, and value. Second, groups with low school progress index generally show low results in most of student features. Thir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hat can classify 'intermediate' groups and 'high' groups in the aspect of achievement are types of school establishment(national and public), students' satisfaction at school,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and academic efficacy in common among three subjects. In the aspect of school progress index are types of school establishment(national and public) and schools' types by gender(boys') in common among three subject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학력 지표 개발 및 활용 관련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희(Kyunghee Kim),신진아(Jin Ah Shin). (2014).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성취도 및 향상도 결정 요인 분석. 교육평가연구, 27 (1), 109-139

MLA

김경희(Kyunghee Kim),신진아(Jin Ah Shin).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성취도 및 향상도 결정 요인 분석." 교육평가연구, 27.1(2014): 109-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