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 이후 한국 사회문제와 불교의 대응 및 지향점

이용수 453

영문명
The Buddhist Confrontation of Social Problems in Korea since 1945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이도흠(Lee, Do-heum)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7호, 335~374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해방 이후 한국의 주요한 사회문제로 민족의 정체성 상실과 친일 불자 및 식민 잔재의 청산, 분단모순과 통일운동, 개발독재체제와 민주화운동 및 자본주의 모순과 민중해방운동, 전 지구차원의 환경위기와 생명평화운동으로 크게 범주화하여 불교의 대응을 살펴보고 지향점을 모색해 보았다. 해방 이후 한국 불교는 정권과 국민의 지지를 바탕으로 친일 승려와 일제 식민 잔재의 청산에 적극 나섰다. 이런 불교의 대응은 종단을 통합하고 새로운 수행 전통을 확립하고 민족불교를 수립하는 데 일정 정도 기여하였지만, 운동의 지도층이 ‘한국불교’에 대한 치열한 성찰을 하지 못하였기에 한국 불교의 정체성 문제가 아직 논란 중이다. 한국 불교는 분단모순을 극복하기 위하여 나름대로 통일운동을 전개하기는 하였지만, 여러 여건상 활발하게 전개되지는 못하였다. 어느정도 호국불교 논리를 극복하기는 했지만, 이의 완전한 극복과 권승의 퇴출, 불교를 활용한 통일사상과 대안 마련이 과제로 남았다. 민중불교운동의 참여자들은 박정희의 개발독재 및 군사독재정권에 맞서서 고문과 구속, 때로는 죽음까지 각오하며 민주화 투쟁과 민중해방을 추구하는 올바른 실천투쟁을 전개하였으며, 한국 사회의 민주적 발전과 87년 체제를 세우는 데 상당히 기여하였다. 하지만, 소수 명망가들이 운동을 이끌었으며, 노동자 민중과 굳건한 연대 투쟁을 하지못하였다. 지난 20세기에 기독교가 민주화와 인권운동을 주도하며 대중의 지지를 받을 때, 한국 불교의 지도층은 호국불교를 외치며 군사독재정권의 시녀를 자임하였고, 결국 군사독재정권의 몰락과 함께 종교적 권위를 상실하였다. 반면에, 도법, 수경, 문수, 지율 스님이 펼친 생명ㆍ생태운동 및 평화운동은 생태적 패러다임과 삶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21세기의 한국 사회의 핵심 사회문제는 전지구차원의 환경위기, 신자유주의 모순, 폭력의 심화와 전쟁, 욕망의 과잉, 재현의 위기일 것이다. 한국 불교사상에는 이에 대한 풍성한 논리와 대안을 담고 있다. 이제 한국 불교는 현실을 냉철히 분석하고 이 바탕 위에서 개인의 깨달음과 사회개혁을 원융(圓融)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이론을 정립하고 이 땅에 진정으로 정토를 구현할 수 있는 실천을 모색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re have been many social problems in Korea since independence in 1945. I place them under 5 categories: the loss of national identity vs. purging colonial remnants,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vs. the national unification movement, developmental dictatorship vs.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capitalist contradictions vs. the labor movement, and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vs. the environmental movement.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Korean monks actively purged pro-Japanese monks and colonial remnants in Korean Buddhism, such as the married order of monks. This movement contributed to the unification of religious order, the creation of new ascetic traditions as well as re-establishing Korean Buddhism as an ethnic religion. However, because the leaders at the time did not thoroughly reflect on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is is an issue that continues to generate debate. Korean buddhists took part in the national unification movement in order to heal the contradictions caused by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y acted passively, and failed to entirely overcome the ideology of 'Buddhism for national protection.' Many Buddhists engaged in the popular movement for democratization against president Park's dictatorship and policy of authoritarian development. They were arrested, imprisoned, and tortured. They fought against the military junta at the risk of their lives. This movement contributed to the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 in 1987. However, few men of renown took the lead, and failed to achieve solidarity with laborers. In 20th century, many Christians led the movement for democratization and human rights. However, most leaders of Korean Buddhism supported 'buddhism for national protection' and held onto the coat-tails of the military dictatorship. Thus Korean Buddhism lost its religious authority after the fall of the military dictatorship. 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al and peace activism led by the Vens. Dobeop, Sugyeong, Munsu, and Jiyul have provided great contributions, above all opening new prospects for national and citizen movements through their exploration of ecological paradigms and the concept of the ecologically conscious life. South Korea is facing several problems in 21st century: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the contradictions of neoliberalism, the buildup of violence and the threat of war, the increase in avarice and materialism, and the crisis of representation. Now, Korean Buddhism must look dispassionately at the current realities and establish systematic ideologies and alternatives that synthesize individual enlightenment and social reform. By putting into practice these alternatives and ideologies, we may truly create the Pure Land in this country.

목차

요약문
Ⅰ. 머리말
Ⅱ. 민족의 정체성 상실과 친일불자 및 식민잔재의 청산
Ⅲ. 분단모순과 민족통일운동
Ⅳ. 개발독재체제와 민주화운동 및 자본주의 모순 심화와민중해방운동
Ⅴ. 21세기의 사회문제와 불교의 지향점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도흠(Lee, Do-heum). (2013).해방 이후 한국 사회문제와 불교의 대응 및 지향점. 불교학연구, (37), 335-374

MLA

이도흠(Lee, Do-heum). "해방 이후 한국 사회문제와 불교의 대응 및 지향점." 불교학연구, .37(2013): 335-3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