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화엄 교학에서의 연기(緣起) 개념

이용수 1044

영문명
The Concept of Dependent Origination in Huayan Scholasticism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고승학(Koh, Seung-hak)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7호, 103~139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화엄 교학 전통에서 연기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고찰하고 단일해 보이는 이 전통 내에 다양한 연기 개념이 존재하였음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불교의 연기 개념이 시간의 흐름을 중시하여 고통의 발생과 소멸이 특정한 조건에 의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면, 대승불교의 공 개념은 현상계의 모든 사물들이 상호 의존하고 있다는 직관을 가지게 하였고 연기로부터 시간성을 탈각하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화엄 교학의 진여연기와 볍계연기, 그리고 성기 개념은 여기에 사물의 발생론적 근원을 추구하는 중국적 사유가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법장이 체계화한 화엄 교학에는 자종의 우월성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노골적으로 드러나 있고, 중중무진으로 특징지어진 법계연기를 설명하기 위해 『화엄경』의 전체 문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새로운 그러면서도 복잡한 이론 틀을 도입하여 이론을 위한 이론을 개진한 듯한 느낌을 준다. 다른 한편으로 이통현이 인과동시로서 화엄 일승을 규정하면서 제시한 중관적 논리 전개와 의상이 성기 개념을 논하면서 여래장사상과의 화회를 시도한 사례들로부터 우리는 화엄 교학 전통 내의 연기 개념이 지난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at tracing the process in which the concept of dependent origination(pratītyā-samutpāda) was developed in the tradition of Huayan scholasticism. It also intends to reveal that diverse interpretations on the concept were presented within the seemingly unitary tradition. Whereas the concept of dependent origination in early Buddhism emphasized the passage of time and showed that the arising and cessation of suffering was dependent upon a specific condition, the notion of emptiness(śūnyatā) in Mahāyāna Buddhism led to the intuition of the interrelatedness of every object in the phenomenal world, thereby excluding temporality from dependent origination. Combined with this atemporal notion of emptiness, the Chinese penchant for finding the generative origin of thing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uch Huayan theories as dependent origination of suchness, dependent origination of the dharma realm, and nature origination. However, Huayan scholasticism as systemized by Fazang (643-712) is rather biased, openly touting its superiority to other schools. It also gives the impression that its theories just serve for the sake of theories. When Huayan masters explicate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the dharma realm, characterized by the idea of "repetition ad infinitum," they often introduced new and complicated theoretical frames without considering the whole context in which certain key concepts occur in the Flower Garland Sutra. On the other hand, we can confirm the existence of diversities in the Huayan tradition from examples such as Li Tongxuan's (635-730) adoption of Mādhyamika logic for the definition of the simultaneity of cause and result, and Uisang's (625-702) reconciliation of Tathāgata-garbha thought and the philosophy of nature origination.

목차

요약문
Ⅰ. 들어가는 말
Ⅱ. 연기 개념의 변용과 화엄의 법계연기 개념
Ⅲ. 인과동시로서의 일승 연기
Ⅳ. 성기 개념의 출현과 전개 양상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승학(Koh, Seung-hak). (2013).화엄 교학에서의 연기(緣起) 개념. 불교학연구, (37), 103-139

MLA

고승학(Koh, Seung-hak). "화엄 교학에서의 연기(緣起) 개념." 불교학연구, .37(2013): 103-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