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佛典 常用詞의 詞義 분석

이용수 65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Commonly Used Buddhist Terminologies - An Examination of the Words 見, 象, 像, 相 found in the Zimen jingxun 緇門警訓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안재철(An, Jae-cheol)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7호, 181~234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9,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어떤 漢字도 처음 만들어질 때부터 지금까지 변화되지 않고 사용되는 글자는 없다. 즉 字形은 물론이고, 字音과 字義조차도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 오늘날에 이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문을 해석하는 사람들은, 오늘날 사용되는 뜻만이 수록된 옥편을 참고하여 해석하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 오역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見(/jiàn/, /xiàn/)과 象(/xiàng/) 像(/xiàng/) 相(/xiāng/, /xiàng/) 등이 佛典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살펴, 바르게 번역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흔히 ‘見’을 단순히 ‘보다’라고만 해석하려고 하는데, 많은 경우 결코 그렇게 해석할 수 없다. 즉 ‘見’은 본래 ‘보다’라는 뜻이었던 것 이 引伸되어 ‘解得하다’나 ‘드러나다’라는 動詞로 사용되거나, ‘見解’라는 뜻의 名詞로 사용되기도 하고, 나아가서 動詞의 앞에 쓰여 被動을 표시하기도 하며 , 受事者를 指示하여 人稱代詞가 될 수도 있으며, 때로는 結果補語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見’과 ‘相’은 그 本義가 모두 보는 것과 관련되는데, ‘見’이 사람의 발 위에 그 사람의 눈을 그려 主觀을 나타내는 반면, ‘相’은 나무라는 대상을 사람이 눈으로 보고 있는 모습을 그려 客觀을 나타내었다고 할 수 있다. 흔히 객관의 대상이 되는 것이 사람의 認識 밖에 존재하는 事物 자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은 外境에 존재하는 사물 자체가 인식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고, 그것이 마음속에 받아들여져 마음속에 맺혀진 ‘相’이 인식대상이 되는 것이다. 本考에서는 外境에 존재하는 것과 인식대상이 되는 것을 각각 ‘象’, ‘像’, ‘相’으로 분리하여 그것 이 지시하는 것을 정리하였다.

영문 초록

Every Chinese character has undergone many changes since its creation, in form, sound and meaning. In spite of this, people who translate Classical Chinese Buddhist texts today often commit errors by referring to dictionaries which contain only the contemporary meanings. My thesis aims at examining such Chinese characters that appear in Buddhist scriptures as 見,(/jiàn/, /xiàn/), 象(/xiàng/), 像(/xiàng/), 相(/xiāng/, /xiàng/), etc., and how to properly translate these words. For example, people often translate 見 into 'to see' only, but in many cases, it cannot be interpreted as above. There are many other meanings: 'to understand', 'to disclose,' 'point of view,' as an indicator of passive voice when situated before the verb, etc. Both 見, and 相 have the same meaning of 'to see'; the former implies a subjective meaning, depicting a person's eyes on top of their feet, whereas the latter symbolizes an objective meaning, depicting someone who looks at the shape of a tree. It is easy for people to think of the subject as a thing. In fact, it is not external objects 外境 that are the object of cognition, but rather its 相 that has been accepted and focused in the inner mind. Therefore, I consolidate my treatise like this: 象 is an external object, 像 is the copy of 象, and 相 is an image carried in the mind.

목차

요약문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재철(An, Jae-cheol). (2013).佛典 常用詞의 詞義 분석. 불교학연구, (37), 181-234

MLA

안재철(An, Jae-cheol). "佛典 常用詞의 詞義 분석." 불교학연구, .37(2013): 181-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