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동여지도》 초기본, 《해좌여도(海左與圖)》의 재발견

이용수 672

영문명
Rediscovery of 《Haejwayeodo(海左與圖)》 as an Early Version of 《Daedongyeojido(大東與地圖)》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양보경(Bo-Kyung Yang) 양윤정(Yoonjeong Yang)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5권 제3호, 1~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861년 간행 《해좌여도》의 형식, 지명, 내용 등을 재검토함으로써 이 지도의 의의를 밝히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목판본 해좌여도의 전체적인 크기, 내용, 윤곽이 대동여지도 간행본과 동일함을 확인했다. 지도의 표제가 ‘해좌여도’로 명명되어 있지만, 이 지도가 현존하는 목판본 《대동여지도》 가운데 가장 초기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해좌여도》와 현존하는 목판본 《대동여지도》의 상이한 부분들도 발견되었다. 첫째, 《해좌여도》에는 함경도의 장진이 진보로 표시되어 있고, 둘째, 부거창, 회수역 등의 지명이 생략된 채 기호만 표시되어 있다. 셋째, 덕적도를 포함하여 섬의 위치 및 지리 정보에 오류가 있으며, 넷째, 일부 지형과 섬이 생략되어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초산 서쪽 파저강의 유로가 서향이 아닌 서북향으로 표시되어 있다. 《해좌여도》의 이와 같은 잘못된 정보가 이후 간행된 목판본 《대동여지도》에는 보다 정확한 지리정보로 수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해좌여도》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도 확인되었다. 판목을 찍어 낸 이후 직접 그려 지형을 수정하고자 했던 부분이나 지명을 써 넣은 부분 등이 대표적인 특징이다. 또한 이후에 간행된 목판본 《대동여지도》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해로가 그려져 있으며, 각 군현에 대한 지리 정보 역시 지도 여백에 필사로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해죄여도》의 특징은 고산자 김정호의 보다 정확한 목판본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과정이자 끊임없는 노력의 흔적이었음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significance of the map, 《Haejwayeodo(海左與圖)》 published in 1861, which is possessed by Sungshin Women's University Museum by reviewing its format, name of places and contents. The study reveals that the overall size, contents and outline of 《Haejwayeodo》 are almost same to those of 《Daedongyeojido》. Therefore, this map can be considered as the first printed version of 《Daedongyeojido(大東與地圖)》 while it is titled as 《Haejayeodo》. In addition, som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Haejwayeodo》 from 《Daedongyeojido》 have been identified when scrutinizing this map. First, "Jangjin" of Hamkyeog Province has been marked as "Jinbo" in 《Haejwayeodo》. Second, name of places such as "Bugerchang" and "Hwaesuyeok" are just indicated by symbols. Third, there are some errors on geographic information and location of islands including Deokjeok Island. Fourth, some territories and islands are omitted in the map. Lastly, river flow of Pajeo River in the west side of Chosan county in Pyeogan Province is indicated as Northwest instead of West. This study also found the unique traits of 《Haejwayeodo》. Some information on topography was included by drawing or writing it on the printed version of the map. Moreover, some sea routes that were not shown in the woodblock map of 《Daedongyeojido》 were drawn in the 《Haejwayeodo》. There was also geographic information of each counties and prefectures on the map. Clearly, this 《Haejwayeodo》 shows endless efforts of ancient mapmakers to produce more accurate woodblock map version, the 《Daedongyeojido》.

목차

요약
Abstract
1. 머리말
2. 《대동여지도》의 수정과 판본의 변화
3. 《해좌여도》의 판본 비교 및 특징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보경(Bo-Kyung Yang),양윤정(Yoonjeong Yang). (2013).《대동여지도》 초기본, 《해좌여도(海左與圖)》의 재발견. 문화역사지리, 25 (3), 1-13

MLA

양보경(Bo-Kyung Yang),양윤정(Yoonjeong Yang). "《대동여지도》 초기본, 《해좌여도(海左與圖)》의 재발견." 문화역사지리, 25.3(2013): 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