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분별(kalpanā)의 정의

이용수 109

영문명
Prajñākaragupta’s Definition of kalpanā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배경아(Bae, Gyeong-A)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38輯, 163~19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인식론논리학 전통에서 분별은 인간의 인식과 언어의 문제로 다루어진다. 이 학파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는 디그나가 (Dignāga ca. 480–540)는 분별을 ‘명칭이나 종 등을 결합하는 것’으로 정의함으로써 대상을 명칭 등과 결합 될 때에만 언어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으로 한정한다. 다르마끼르띠 (Dharmakīrti ca. 600-660)는 분별을 ‘언어표현을 갖는 지(知)’ 혹은 ‘언어표현과 결합 가능한 현현을 갖는 지’로 정의함으로써 언어와 결합하지 않고 외계의 실재에 간접적으로 기반하고 있는 지를 인정하고 실천적인 효용의 의미를 함축시킨다. 쁘라즈냐까라굽따 (Prajñākaragupta ca. 780-840)는 분별을 ‘한정요소 등과 결합하는 대상의 현현을 갖는 지(知)’ 로 정의함으로써 분별도 분별의 대상도 동일한 지라는 유형상지식론의 관점에서 분별의 본질적인 원인은 외계의 실재하는 대상이 아니라 지 내부의 인식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영문 초록

Prajñākaragupta defined conception as a cognition displaying something that is connected to the qualifier, etc. (viśesanādisambandhavastupratibhāsā pratītih kalpanā). The definition has a slightly different meaning from Dignāga’s definition according to which conception consists in the association with a name, a genus, etc. (nāmajātyādiyojanā) and Dharmakīrti’s statement to the effect that conception is a cognition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a verbal designation (abhilāpasamsargayogyapratibhāsā pratītih kalpanā). It is implied by the definition to he’s "the epistemological theory of having an apearance" explaining the yogācāra on the basis of self cognition. For instance, in his opinion, conception’s apearance is formed by vasanā, not an external something or sāmānya. Prajñākaragupta also defined conception as the apprehension of what can be associated with something. And like Dharmakīrti, he thinks that the qualifier, the qualified and their connection do not exist in reality. There is also a definition according to which conception is caused by a word, and vice versa. According to Prajñākaragupta, the above definition support the fact that the definition of perception (i.e., ‘being devoid of conception’ kalpanāpodha) is established by means of self-cognition. Prajñākaragupta analyses conception theory in terms of the yogācāra school that it is bases upon internal cognition not external something to decide if an object of conception and linguistic item is real or not real.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분별의 언어적 기능
Ⅲ. 분별의 대상
Ⅳ. 분별의 인식구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경아(Bae, Gyeong-A). (2012).분별(kalpanā)의 정의. 보조사상, 38 , 163-190

MLA

배경아(Bae, Gyeong-A). "분별(kalpanā)의 정의." 보조사상, 38.(2012): 163-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