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등불의 비유’로 본 자기인식의 문제

이용수 221

영문명
Self-Cognition through the Metaphor of a Lamp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김성옥(Kim Seong-Ock)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38輯, 131~15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자기인식(svasaṃvedana)의 논리는 유형상지식론의 전제 위에서 출발한다. 유형상지식론은 인식 속에 나타난 대상의 형상을 인식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모든 인식은 결국 인식 그 자신의 인식이라는 ‘자기인식의 논리’를 전개한다. 자기인식의 논리는 『대비바사론』에서 마음과 마음작용은 자신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한 대중부에서 그 근원을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등불의 비유를 들어 자신들의 견해를 주장하는데, 이것은 유부와 중관학파의 입장에서 각각 비판받게 된다. 반면에 경량부에서는 대상의 형상을 통해 인식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함으로써 유형상지식론을 확립시키고, 그 형상의 인식이란 곧 자기인식일 뿐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또한 유식학파에서는 경량부에서 인식의 원인으로 설명되었던 외부대상과 그 형상의 인식을 한 찰나 이전의 識으로 바꿔놓음으로써 외부대상의 존재를 인정할 필요 없이 인식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디그나가의 영향 아래 『쁘라마나바르띠까』를 집대성한 다르마끼르띠에게 있어 ‘자기인식의 논리’는 그의 인식론이 경량부에서 유식학파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중심축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composed by the Dharmakīrti's description “All mind and mental activities are the self-cognition.” The theory of self-cognition(svasamvedana) most of all has developed with the theory of sākāravādin. It is insisted that the object of cognition is not the external object, but we can only recognize the ākāra which appears in awareness. The ākāra could be said the cognition itself. Therefore all the cognition is the reflexive awareness, the self-cognition. The origin of self cognition back to the Mahāsāmghika. They admit the self-cognition of the mind and mental activities. They said that mind is like a lamp. It illuminates other things, simultaneously it illuminates itself. So the mind can recognize other things simultaneously it can recognize itself. However the metaphor of lamp was refuted by Sarvāstivādin and Mādhyamika. They insisted that the metaphor of lamp is not achieved. The lamp can not illuminate itself, like as the fingers can not point out itself. In the same manner the cognition can not cognize itself. The Sautrāntika and Yogacāra developed the theory of self-cognition, although they was standing on the different point. Sautrāntika approve the existent of external things, but Yogacāra does not approve it. Notwithstanding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 external object itself does not perceived and we can only recognize the ākāra of object in awareness. Dignāga was the first Yogacāra scholar to systemize the theory of self-cognition in his epistemological system. And it was Dharmakīrti who succeed the epistemology of Dignāga. When he wrote the Pramānavārttika, he approved the self-cognition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Sautrāntika and Yogacāra. He referred the metaphor of lamp again. He insist that all the cognition is reflexively the cognition of itself like a lamp. It is necessary to notice the commentary of Pramānavārttika. Manorathanandin and Devendrabuddhi approve the self cognition. But it does not mean they approve the self cognition from the viewpoint of paramārtha. It must be said that the lamp illuminates itself in the meaning of upācara. It is worth while to notice the self-cognition with the problem whether it was approved by the Buddhist afterwards on the level of paramārtha or samvrtti. The theory of self-cognition could suggest the alternative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difference between Yogacāra and Mādhyamika.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자기인식의 기원과 비판
Ⅲ. 자기인식의 옹호
Ⅳ. 다르마끼르띠의 자기인식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옥(Kim Seong-Ock). (2012).‘등불의 비유’로 본 자기인식의 문제. 보조사상, 38 , 131-158

MLA

김성옥(Kim Seong-Ock). "‘등불의 비유’로 본 자기인식의 문제." 보조사상, 38.(2012): 131-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