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나한(羅漢)의 사지(四智)에 대한 일고(一考)

이용수 140

영문명
A Study on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강대현(Kang, Dae-hyu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6호, 123~164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깨달음에 이른 사람을 아라한(阿羅漢, arahant) 이라고 한다. 불교에서의 최초의 아라한은 석존이다. 즉 석존도 한 인간으로서 지난(至難)한 수행과정을 거치고 아라한이 된 사람이다. 만약 석존이 성도했을 때의 양상을 더듬어 볼 수 있다면 그것은 바로 ‘나한의 사지’를 떠 올리면 될 것이다. 즉 “생사를 이미 여의었고, 청정행도 이미 이루어졌으며, 해야 할 바도 이미 다 하였으며, 다시는 몸을 받지 않는” 사람인 것이다. 이 게송은 석존이 자증한 바를 아라한과에 이른 제자들에게 교시한 문답에 처음으로 등장하여서 거의 모든 수행관련 불교문헌에 나타나지만 초기불전에서는 그 개념의 정의없이 한 묶음의 게송으로 전승된다. 그러던 것이 대승불전에서 ‘사지(四智)’라고 언급된다. 그 대표적 문헌이 『대승의장(大乘義章)』이다. 즉 『대승의장』「사지의(四智義)」에서 ‘사지’를 ‘세 맥락으로 분별[三門分別]’하면서, 첫째는 대상을 준거(準據)로 파악하고, 둘째는 그것의 체(體)와 상(相)으로 판정하고, 셋째는 진지와 무생지를 들어 분별하고 있다. 여기서 사지라고 말하는 것은, ‘아생이진(我生已盡)ㆍ범행이립(梵行已立)ㆍ소작이판(所作已辦)ㆍ불수후유(不受後有)’ 이 네 가지이다. 이 넷은 사성제의 지(智)와 같다고 한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비바사들의 논서와 『승만경 』, 『열반경』을 인용하면서 그러한 ‘사지’와 사성제를 배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지’에 대한 사성제의 배당이 비록 표면상 불전마다 다르나, ‘사지’의 증득이 곧 사성제의 진리인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각각의 구(句)가 불전마다 다른 배당은 결국 사성제라는 커다란 테두리 안에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석존의 근본교설이 어떤 교설보다도 중요한 불교의 정신이라면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나한의 사지’도 그 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하였던 ‘나한의 사지’라는 개념의 재조명(再照明)은 물론 수행의 근본적인 바탕으로서 ‘나한의 사지’를 이해하여서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word arahant is used to refer to enlightened people. The first arahant in Buddhism is the Buddha, Seokjon [釋尊, Śākyamuni]. In other words, the Buddha, Seokjon became a arahant through a underwent deep meditative practice also, as human beings. If it is possible to describe the Buddha's understanding upon attaining enlightenment, one may think of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羅漢之四智].’ Namely, arahants are people who have “extinguished the production of selfhood, completed the necessary practices of purity, done what was necessary to be done to realize enlightenment, and that there will be no further rebirths.” The four verses of this passage [gāthā] first appeared in a question and answer of the Buddha to other disciples who had reached the level of arahant. These verses appear in nearly all of the Buddhist literature on practice, but the bundle of verses is copied in the early Buddhist canon without any definition of those concepts. These are then mentioned in the Mahāyāna Buddhist scriptures which refer to them as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A representative such work is Huiyuan of Jinyingsi Temple's (523∼592) Essay on the System of Māhāyāna [大乘義章].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in the Essay on the System of Mahāyāna, is ‘divided into three contexts [三門分別].’ The first is to identify the wisdom based on Four Noble Truths [四聖請]. Second, the wisdom's essence[体] and characteristics[相] are determined. Third, it is classified into ‘eradication wisdom [盡智]’ and ‘cognition of non-arising [無生智].’ Here,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refers to ‘understanding that one has been born is the realization of the truth of suffering [我生已盡].’ ‘the understanding that the arahant has completed the necessary practices of purity is the realization of the truth that suffering is at an end [梵行已立]’. ‘the understanding that task of the arahant have been well performed, which is the realization of the truth leading to enlightenment [所作已辦]’. ‘the understanding of the arahant that there will be no further rebirths, which is the realization of the truth of the causes of suffering [不受後有]’. It is also said that these four is the same as the cognitions of the Four Noble Truths. The Essay on the System of Mahāyāna cites portions from Vibhāsā's śāstra [毘婆沙論書], Srimaladevi-simhanada-sutra [勝鬘經] and Nirvāna Sūtra [涅槃經] assign Four Noble Truths to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Although the exact mapping of the Four Noble Truths to the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differ among these scriptures, it is undeniable that the attainment of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is in fact the attainment of the Four Noble Truths. Therefore, the different mappings of every verse in each text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larger framework of the Four Noble Truths. Therefore, if the fundamental doctrines of. the Buddha is the spirit of Buddhism and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doctrine, then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is equal in importance. Therefore, this calls for a re-illumination of the previously neglected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and an understanding of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as a fundamental base for practice, and further study is indicated.

목차

요약문
Ⅰ. 들어가는 글
Ⅱ. 나한의 사지라는 개념에 대하여
Ⅲ. 초기불전(初期佛典)의 나한의 사지에 대하여
Ⅳ. 『대승의장(大乘義章)』에 나타난 나한의 사지와 사성제
Ⅴ.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대현(Kang, Dae-hyun). (2013).나한(羅漢)의 사지(四智)에 대한 일고(一考). 불교학연구, (36), 123-164

MLA

강대현(Kang, Dae-hyun). "나한(羅漢)의 사지(四智)에 대한 일고(一考)." 불교학연구, .36(2013): 123-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