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고지도에 표현된 제주도 인식의 변천

이용수 755

영문명
Change in the Perception of Jeju Island Represented in Old Chinese Maps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오상학(Sang-Hak Oh)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5권 제2호, 1~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중국, 일본이 둘러싸는 동북아시아 해역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주도는 과거 '탐라'라는 독립 왕조가 있었던 오랜 역사적 기원을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제주도는 인접한 중국의 고지도에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명대 이전의 고지도에 제주도에 관한 인식은 원대에 제작된 일부 지도에서 보이고 이전 시기의 지도에서는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명대의 지도에서 제주도에 대한 인식은 보다 진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6세기에 제작된 職方世界 중심의 전통적인 지도에서는 제주도가 '탐라'라는 역사지명과 함께 그려졌다. 1555년 제작된 『廣輿圖』의 「조선도」에는 이전 지도와 달리 '제주'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1602년에 제작된 마테오 리치의 『坤輿萬國全圖』는 제주 인식의 새로운 전기가 되었고, 이는 서양 지도의 제주 인식에도 영향을 주었다. 청대에는 명대보다 제주도의 인식이 훨씬 정교해지는데 1718년의 『皇輿全覽圖』의 「조선도」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황여전람도』에는 제주도가 한반도의 서남쪽에 제대로 위치해 있고, 위도는 약간의 편차가 있으나 경도는 거의 실제와 일치한다. 이러한 『황여전람도』의 제주 인식은 19세기의 『海國圖志』, 『萬國大地全圖』에 그대로 이어지고 1905년 『大淸帝國全圖』에는 제주가 더욱 정교하게 표현되었다.

영문 초록

Jeju Island 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of Northeast Asian sea area has a long history of independent dynasty which had been called 'Tamna'. Jeju Island was variously represented in old Chinese maps. Jeju Island can hardly be seen in the maps of pre Ming dynasties except for maps made in Yuan Dynasty. Jeju Island was more clearly expressed in the maps made in Ming Dynasty. Jeju Island was represented with the historical place name, 'Tamna', in the traditional maps made in 16th century. The place name of 'Jeju' was seen for the first time in the Guangyutu(atlas of the world) which was made in 1555. Kunyu Wanguo Quantu created by Matteo Ricci became the turning point in the recognition of Jeju Island, and influenced the western maps. Jeju Island was more accurately represented in the maps of the Qing Dynasty like Huangyu quanlan tu compared to those of Ming Dynasty. Jeju Island was correctly described in the sou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had accuracy in coordinates. The recognition of Jeju Island in the Huangyu quanlan tu lasted in Haiguo tuzhi and Wanguo Dadi Quantu and became more elaborated in Daqing Diguo Quantu made in 1905.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명대 이전 지도의 제주도 인식
3. 명대 지도의 제주도 인식
4. 청대 지도의 제주도 인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상학(Sang-Hak Oh). (2013).중국 고지도에 표현된 제주도 인식의 변천. 문화역사지리, 25 (2), 1-14

MLA

오상학(Sang-Hak Oh). "중국 고지도에 표현된 제주도 인식의 변천." 문화역사지리, 25.2(2013): 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