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閨閤叢書類 文獻의 한글 서체 조형성 고찰

이용수 355

영문명
A Study on the Formativeness of Hangul Type in the Collections of Gyuhapchongseo (閨閤叢書) during the Chosun Dynasty -Focused on Manuscripts-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박정숙(Park, Jeong-sook)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2호, 168~201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憑虛閣 李氏(1759-1824)가 생활전선에서 느끼고 경험한 것을 고증과 실증적인 방법으로 직접 저술한 원작 『閨閤叢書』(1809)는 19세기 이후 20세기 초까지 여러 종류의 규합총서가 필사되고 판각되어 전해져 왔다. 『閨閤叢書』 원 저자의 글씨는 유실되어 남아 있지 않지만 그 당시에 이미 유행처럼 번진 다양한 글씨의 필사본을 수집 분석하여 규합총서류 문헌의 서체적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그 중 규합총서류 필사본 중에서 소박하고 토속적인 맛이 나는 일반체류 필사본과 정돈되고 단정한 궁체 흘림으로 쓴 궁체류의 필사본 등 서예적 가치가 있는 여러 종류의 규합총서에 대한 서지적 관계를 알아보고, 이 중 서체적 조형성이 특이한 일반체류 2종과 궁체류 2종에 대한 조형성을 심층 분석하였다. 『규합총서』의 필사본은 정양완 鄙家藏本, 永平寺本, 東京大本, 國立中央圖書館本이 있고, 그 외 西江大本, 양사동 김씨 가장본(婦人必知), 이상훈 소장본 등이 있다. 이 중 필사본인 4종의 규합총서의 조형성을 분석하여 보면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 및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일반 필사류인 <정양완 비가장본>이나, <영평사본>, <부인필지>, <이상훈 소장본>에서 보이는 글씨는 여필이 아닌 남필로 보여 낙향한 사대부나 몰락한 가문의 양반 사대부 남성들에 의해서 한문 필의로 쓴 글씨로 보인다. 이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명선 소장의 ‘두껍전’이나 ‘김젼’에서 보이는 19세기 후반의 고소설류 서체 글씨와 거의 비슷하여 남필의 일반 서체류가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동경대본>은 왕실도서관이었던 규장각 소장본 한글소설류인 옥원중회연에서 보이는 궁체 흘림체와 비슷하여 궁중에서도 규합총서를 널리 활용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3) <국립중앙도서관본>은 민간에서 유행한 규합총서의 저본이 궁중으로 들어가 그 당시 순조대의 최장희 상궁이나 서기이씨 급의 서사상궁의 글씨로 볼 수 있다. 또한 궁중의 품목 글씨인 <뎡미가례시일긔>에서 보이는 정련된 글씨와 거의 유사한 글씨체인 것으로 보여, 이는 정책적으로 궁중에서 필사시켜 남겨진 글씨로 짐작된다. 이상의 여러 종류의 규합총서의 글씨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고소설류에서 보이는 일반 서체류와 왕실도서관인 규장각 소장본에서 보이는 궁체류 글씨가 유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규합총서류에서 쓰인 일반 서체류는 남필로 보이며, 궁서체류는 여필로 추정할 수 있어, 규합총서는 일상생활의 모든 것을 포괄하는 총서로써 누구에게나 유익한 내용을 담고 있어 남녀 구분 없이 필사된 19세기 이후 20세기 초까지의 한글 유행서풍으로 볼 수 있다. 이로써 규합총서 중 가장 아름다운 궁체 필사본으로 분석된 국립중앙도서관본이나 남필로 쓰기에 적당한 정양완 비가장본이나 영평사본 등은 현재 서예계에서도 매우 가치 있는 자료로서, 다양한 서체개발의 적합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original Gyuhapchongseo (閨閤叢書: a collection of books of matters concerning daily household) written (in 1809) by Bingheogak Lee (憑虛閣李氏, 1759-1824) with the methods of evidence and proof research has been transcribed in many types from the 19th century till the early 20th century. Although the character used by the original writer of Gyuhapchongseo cannot be currently identified, but I gathered various kinds of manuscripts of it popular at that time and studied the features of the handwriting style shown in those books. Among them are chosen general type manuscripts which seem unsophisticated and indigenous and court style manuscripts which are relatively neat and decent, and other ones which are believed to have calligraphic values. With those manuscripts, I investigated bibliographic relations and deeply analyzed the formativeness of especially two types of general style and court style handwriting, respectively. The manuscripts of Gyuhapchongseo are Jeong Yang Wan's copy, the copy in Yeongpyeong Buddhist Temple, the copy in Tokyo University, the copy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copy in Sogang University, the copy in the Kim's Family in Yangsadong, the copy privately collected by Lee Sang Hoon. Among them, the formativeness of four manuscripts of Gyuhapchongseo is analyzed and I present the study results and my opinions on them as follows; 1) The character from Jeong Yang Wan's copy, the copy in Yeongpyeong Buddhist Temple, the copy in the Kim's Family in Yangsadong, the copy privately collected by Lee Sang Hoon was written by men, which shows that the ruined ranking officials or noblemen who retired to their rural life used Chinese letter style on those books. This is nearly similar to the late 19th century's novel calligraphy styles shown in A Story of Toad or A Story of the Prince Kim collected by Lee Myeong Seon in National Museum of Korea, showing the popularity of general style manuscript by men. 2) The copy in Tokyo University is similar to court style handwriting shown in Okwonjunghoiyeon, a Hangul-written novel collected in the royal library Gyujanggak, suggesting that the royal court also might have widely used Gyuhapchongseo. 3) For the copy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first manuscript of Gyuhapchongseo which got popular among ordinary people was introduced to the royal court and it was newly written by court lady Choi Jang Hee or other ones on the same level during the period of King Sunjo. Besides, it has the similar writing style shown in the calligraphy for the royal court written in Dyeongmigaryesi Diary, suggesting that the royal court intentionally promoted its copying. All of the kinds of Gyuhapchongseo mentioned above show that general handwriting style and the royal court calligraphy style both got popular. We could infer the general calligraphy style was written by men, while the royal court calligraphy style by women. Gyuhapchongseo includes everything in daily life and has contents to benefit people of all ages and both sexes and most were written in the form of Hangul till the early 20th century from the 19th century. The copy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known as the most beautiful calligraphy of the royal court, or Jeong Yang Wan's copy and the copy in Yeongpyeong Buddhist Temple recognized as adequate for men's writing style are now believed to be very valuable in the calligraphic circle and I think they could contribute to develop various styles of calligraphy.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閨閤叢書와 저자 憑虛閣의 생애
Ⅲ. 筆寫類 閨閤叢書 文章의 章法的 특징
Ⅳ. 筆寫類 閨閤叢書 文字의 結構的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숙(Park, Jeong-sook). (2013).조선시대 閨閤叢書類 文獻의 한글 서체 조형성 고찰. 서예학연구, (22), 168-201

MLA

박정숙(Park, Jeong-sook). "조선시대 閨閤叢書類 文獻의 한글 서체 조형성 고찰." 서예학연구, .22(2013): 168-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