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寤宿齋 宋益欽 언간 서체의 형성과 조형성 고찰

이용수 118

영문명
Examination on Development of O-sukjae Song Ik-hm’s Chirography on Letters and its Formativeness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정복동(Jeong, Bok-dong)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2호, 134~168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송익흠의 언간 서체는 17세기까지는 찾아볼 수 없는 진흘림체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그런데 그의 창신적 서체는 18세기 당시에 관직이 높거나 문기 있는 사대부의 서체에 비해 그다지 인정받지 못하였다. 하지만 오늘날 문자의 실용성에서 한자초서의 법을 활용하여 한글 서간체를 진흘림체로 전환시킨 그의 서체는 예술적 측면에서 재평가되어야 한다. 더욱이 현대서예는 다양성과 개성 있는 예술성이 추구되기 때문에 그의 서체는 모본으로서 그 연구 가치가 높다. 송익흠 언간 서체의 형성 배경은 송준길가의 유가 지향적 문예정신과 송시열ㆍ송준길이 왕희지를 재해석한 양송체를 熟觀하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그의 창작력은 중국의 소식과 황정견ㆍ안진경 등의 한문 서체에 대한 다양한 이해에서 그 실마리를 찾았음을 그가 40대 전후에 쓴 16편의 편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동당지기인 송명흠ㆍ문흠 형제와 임성주, 김창협 선생, 이인상 등과 학론 및 예술적 교류를 가지며 예술에 대한 비평의 안목이 높아졌고, 소식과 황정견의 尙意정신을 본받아 창신적 서체를 완성하였음을 장법과 연결문자와 단일문자의 구조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장법은 기울어진 것 같으면서도 평정을 잃지 않았고, 중앙을 긴밀하게 결구하면서도 사방으로 필획을 멀리 뻗게 하여 소밀관계를 크게 대비시켰다. 어절별 구조는 외접원이 중첩된 형태를 비교해본 결과 16세기보다 17세기부터 중첩 율이 많아졌다. 특히 동일한 시대의 부친 송요화는 중첩 율이 0%인데 비해 송익흠은 100%의 중첩 율을 보이고 있어 18세기 사대부들이 개성 있는 다양한 서풍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결문자의 역동적 구조는 ‘이’자의 수필 처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16-18세기의 계층별 성별로 분석하여 비교해본 결과 대부분 懸針으로 하였으나 송익흠은 한자의 예ㆍ해ㆍ행ㆍ초서의 필법을 다양하게 응용하여 전체적으로 단조로운 운필을 피하고 변화 있는 필세로 기운생동의 역동미가 풍부하다. 단일문자의 구조는 ‘균칭’과 ‘正變’규칙을 응용하여 정신을 중앙의 글자 혹은 허한 곳에 집중하는 中宮원리를 응용하였다. 얼핏 보면 난해하고 기이하나 虛實 餘白이 中和를 이루어 침착한 미감과 靈活한 변화에 통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송익흠 언간서체의 조형성은 18세기 개성 중심주의적 예술 사조를 적극 발휘하여 미추의 판단 근거를 경전의 ‘無自欺處’에서 구하고자 중궁, 균칭 등의 원칙을 적용하였으나 단순히 외형 형태의 고정성에 치우치지 않고 한자 서체의 다양한 서법의 요체를 心得하고 이를 성실히 연습하여 소식과 황정견과 같이 ‘出新意’로서 한글서체를 창작하였다는데 그의 예술적 역량과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Chirography on Song Ik-hm’s letters newly introduced cursive writing that had not been found until 17th century. In spite of this, his creative chirography was not that well acknowledg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people on a high office or of noblemen famous for their spirits in sentences back then 18th century. From a perspective that he transformed the epistolary style into an artistic form by utilizing cursive characters for Chinese letters, however, his Korean chirography should be revalued today in terms of practicality in characters. Moreover, his chirography deserves a careful study in this modern calligraphy where diversity and unique artistry are sought. Song’s chirography on letters started to be formed with conversance on Confucianism-oriented literary spirit of Song Jun-gil’s family and Song Si-yeol and Song Jun-gil’s handwriting style named Yangsong which reinterpreted Wang Xizhi. It is shown, however, that his creative power was rooted on understanding of different chirography of Su Shi, Huang Tingjian and Yan Zhenqing of China, which is proved on 16 letters written around his 40s. Above all, he improved his critical eyes on arts through academic and artistic communication with the brother Song Myung-hm and Moon-hm, fellows from the same school, and masters such as Yim Seong-ju, Kim Chang-hyup, Lee In-sang. He also followed Su Shi and Huang Tingjian’s spirits of respecting meanings and completed his creative chirography, which is shown in a structure of the art of writing and connection and single characters. His art of writing seems tilted but well balanced, framed closely with the center but reaching out to all directions to express contrast of sparseness and denseness. For a structure of words, overlap ratio in 17th century seems more significant than that in 16th shown as a result of comparing shapes of circumcircles overlapped. Especially, a contemporary Song Yo-hwa, his father, indicates 0% of overlap ratio while Song Ik-hm shows 100% of it, which demonstrates that the nobility in 18th century formed unique and various types of calligraphy. A dynamic structure of connection characters stands out the most in the last stroke of character ‘Yi.’ As a result of analyses by classes and genders from 16th to 18th century, most used stuff like sharp needles but Song Ik-hm did types of ornamental "seal" style, square one, semicursive and cursive ones for writing Chinese characters to avoid monotonous writing pattern overall and to enrich dynamic beauty of cheerfulness and vividness. A structure of single characters adopts center principle which focuses spirits onto characters on center or on week points by applying rules of ‘balance and symmetry’ and ‘rightness and change.’ It seems difficult and strange to understand but, in fact, the blank makes neutrality so that the structure features a calm aesthetic sense and works on keen changes. For formativeness of Song Ik-hm’s chirography on letters, aforementioned center principle and balance and symmetry are applied to find grounds for beauty or ugliness based on ‘Mujagicheo (無自欺處, no deceiving)’ from scriptures by actively exhibiting uniqueness-centered artistic trend in 18th century. His artistic capability and value is upon that he deeply understood and earnestly practiced various calligraphy of Chinese characters other than fixity of appearance and created a new type of writing Korean alphabets as ‘creation of new meanings’ as Su Shi and Huang Tingjian had done for Chinese characters.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송익흠 언간 현황과 서체의 형성 배경
Ⅲ. 송익흠 언간 서체의 조형 분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복동(Jeong, Bok-dong). (2013).寤宿齋 宋益欽 언간 서체의 형성과 조형성 고찰. 서예학연구, (22), 134-168

MLA

정복동(Jeong, Bok-dong). "寤宿齋 宋益欽 언간 서체의 형성과 조형성 고찰." 서예학연구, .22(2013): 134-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