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식민지 조선에서 석탄 생산력확충계획의 수립과 전개

이용수 286

영문명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Coal Productive Capacity Expansion Plan in Colonial Korea
발행기관
한국경제발전학회
저자명
박현(Park Hyun)
간행물 정보
『경제발전연구』經濟發展硏究 第19卷 第1號, 1~35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 시기 식민지 조선에서 석탄 생산력확충계획의 수립과 전개를 검토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조선의 석탄수급과 무연탄의 일본 이출을 고려해 석탄 생산 및 수급계획을 수립하여 엔블록 석탄 생산력확충계획에 반영시키고자 하였으나 그대로 수용되지는 않았다. 엔블록 계획은 일본 본토의 석탄수급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결정되었고, 조선의 생산목표, 자재배급 등은 그 부분으로서 확정되었다. 총독부는 이러한 제약조건 속에서 유연탄 부족문제에 대처하였으나, 해상수송이 감소하자 조선의 석탄 수급구조는 일본에서 ‘만주’ 의존적으로 전환하였고, 그 가운데 석탄 자급률이 하락, 정체하였다. 무연탄 생산은 증가했으나 수송제약과 과도한 증산정책으로 저탄량이 급증하였다. 한편, 조선 탄광에 대한 강재 배당은 물자동원계획과 생산력확충 실시계획의 책정이 늦어짐에 따라 그 실시가 늦어졌고, 그 실적은 탄광 수요나 계획보다 적었으며, 자재입수 지연과 불균형이 기존 설비와 자재의 활용을 제한하고 투자를 지연시켰다. 그러나 비록 계획에 미치지 못하는 실적이었으나, 강재는 계획에 따라 주요 탄광에 집중되었고, 이에 힘입어 최소한 1941년까지는 설비투자가 확대되었다. 다만, 설비투자가 일부 탄광, 특히 조선무연탄(주)에 집중되면서 자재를 입수하지 못하는 탄광들도 있었다. 이러한 설비투자는 전시기 유연탄과 무연탄의 생산 추세를 규정하는 하나의 요인이었다(JEL : N4, O2, P4).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 Coal Productive Capacity Expansion Plan established and developed during the time of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in Colonial Korea. Chosun Government-General drew up the plan for the supply and demand for coal considering the export of anthracite coal to Japan and the coal supply and demand in Chosun, which was expected to be included in Yen Bloc Coal Productive Capacity Expansion Plan. But it was not reflected successfully because the Yen Bloc plan was designed firstly for the supply and demand of Yen Bloc, especially mainland Japan, and the plan of production goal and material distribution for Chosun was decided as only a small part of the whole. Within this limit, however,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planned to increase coal production and ease the bituminous coal shortage with various policies. But, Since 1941 the bituminous coal production decreased, which led to the fall of self-sufficiency rate of the coal and the problem of anthracite stock became serious. Meanwhile, as the arrangement of the Material Mobilization Plan and the Productive Capacity Expansion Plan delayed, the steel allotment to the coal mines in Chosun delayed. Moreover, the quota didn’t meet the demand as well as the allotment plan and the mines couldn’t make good use of existing equipments and materials which brought about the investment delay. But the allotment, though limited, was concentrated in the major mines as planned, which enabled the increase in the equipment investment at least until 1941. However, as the investment was concentrated in the small number of mines, especially on Chosun Anthracite Inc., some mines couldn’t obtain the materials. Such aspects of equipment investment is one of the useful factors which show bituminous coal and anthracite production trend during the wartime.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조선총독부의 석탄 생산력확충계획 수립과 엔블록계획으로의 편입
Ⅲ. 생산력확충용 자재배급 정책과 석탄광산의 설비투자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Park Hyun). (2013).식민지 조선에서 석탄 생산력확충계획의 수립과 전개. 경제발전연구, 19 (1), 1-35

MLA

박현(Park Hyun). "식민지 조선에서 석탄 생산력확충계획의 수립과 전개." 경제발전연구, 19.1(2013): 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