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심밀경소』티벳어역의 사료적 가치

이용수 204

영문명
The Value of Ḥphags pa dgoṅs pa zab mo ṅes par ḥgrel paḥi mdo rgya cher ḥgrel pa as a Complementary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Thougth of Woncheuk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장규언(Jang, Gyu-eo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5호, 7~60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9,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 필자는 문헌학적 측면과 원측(圓測, 613-696)의 불교 사상 이해 두 측 면에서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의 티뱃어역(Ḥphags pa dgoris pa zab mo ṅes par ḥgrel paḥi mdo rgya cher ḥgrel pa, 이하 SNST로 약칭 )이 지난 사료적 가치를 구체적으로 예증하였다. 먼저 문헌학적 자료 가치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예로 SNST을 통해 『해심밀경소』 한문본을 교정하고 또 보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몇 가지 사례를 소개하였다. 첫째로 SNST를 통해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텍스트 오류인 오자(誤字), 탈자(脫字), 연자(衍字) , 도치(倒置) 교정의 실례를 보여주었다. 둘째로 텍스트 복원의 실례로서「서품(序品)」교체론(敎體論)의 법수(法數)에 대한 경량부(經量部)의 논의 부분 중의 결락을 SNST를 통해 실험적으로 복원해 보았다. 셋째로 현존 대장경 텍스트 검증 및 교정의 실례로서 SNST를 통해 「무자성상품(無自性相品)」 의 『불성론(佛性論)』 인용 부분을 검증한 뒤 그 오류를 지적하였으며 나아가 SNST에 의거한 현존 대장경본 『불성론』 자체의 교정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로 진제(眞諦) 일문(逸文) 검증 및 교정의 실례로서 『해심밀경소』에 보존되어 있는 진제 『구식장(九識章)』 인용문을 SNST를 통해 교정하고 보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원측의 불교사상 이해에 있어 SNST가 지닌 자료 가치를 예증하기 위해 SNST에만보존된 「서품」 교체론 속 자료들 속에서 『반야심경찬(般若心經贊)』 과 『인왕경소(仁王經疏)』의 일부 주제들에 대한 원측의 생각을 보다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는 보충 자료를 소개하고 해석하였다. 첫째 『반야심경찬』 에서 청변(淸辦)과 호법(讀法)의 논쟁에 대해 언급하면서 등장하는 ‘執我勝論甚違聖教佛自許為解脫菩薩’이라는 구절은 그 의미가 모호한데 뜻밖에도 SNST 속 공유 논쟁을 다루는 부분에서 이와 유사한 구절을 발견할 수 있어 비교적 설득력 있는 해석 가능성을 제시할수 있었다. 둘째, SNST에만 보존된 자료들 속에서 호법의 『대승광백론석론(大乘廣百論釋論)』 을 통해 소개되는 공유(公有)논쟁 부분이 공유 논쟁의 문제의식, 구체적 대론(對論) 과정, 결론 등에 있어 동일한 텍스트를 다루고 있는 『인왕경소』와 유사하면서도 미묘하게 다른 해석을 포함하고 있는 점을 발견하고 양 텍스트의 비교를 통해 공유 논쟁에 대한 원측 이해의 전모를 보여줄 수 있었다. 맺음말에서 필자는 이상의 예 증을 통해 SNST는 원측의 불교 사상을 이해하는데 있어 반드시 참고되어야 할 귀중한 자료라고 결론 내렸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illuminate the value of Ḥphags pa dgoris pa zab mo ṅes par ḥgrel paḥi mdo rgya cher ḥgrel pa (Skt. Ārys-gambhīra-sṃdhinrmocana-sūtra- ṭikā; henceforth SNSn, the Tibetan version of the Hsesimmilgyeong so (解深密經疏; Ch. Jieshenmijing shu, Commentary on Ssṃdhinirmocana-sūtra), written by Woncheuk (圓測) 613-696; Ch, Yuance), in both the philological and philosophical aspects. First, I attest to its philological value, which shows that some extant texts in Haesimmilgyeong so can be revised and complemented by collation with SNST. I present some instances showing that basic textual problems, including erroneous, omitted, superfluous, reversed characters or phrases, can be revised by collation with SNST. Second, I have reconstruted missing passages in the Sautrāntikas' discourse on the number of dharmas found in the section of Discourse on the Essence of Buddha’s Teaching (敎體論) of "Seo pum" (序品; Ch. Xu Pin, Introductory Chapter) based on SNST. Third, as a typical example of testing the authenticity of the extant Tripiṭaks texts, I critically examine quotations from the Foxing fun (佛性論) in "Mujaseongsang pum" (無自性相品, Ch. Wuzixingxiang pin, Chapter on the Character of Non-Substance), point out both its textual and contextual errors, and finally propose the possibility of revising the extant Tripiṭaka text of the Foxing fun that basically accords with quotations in Haesimmilgyeong so based on SNST. Fourth, as an example of examining and revising texts in the lost works of Paramārtha (眞諦, 499-569) preserved in Haesimmilgyeong so, I present and revise a quotation from his Jiushi zhang (九識章, Treatise on the Nine (Vi)jñāna) based on SNST. Next, for illuminating the value of SNST as a complementary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thought of Woncheuk, I present and interpret sources only found in SNST in the section of Discourse on Essence of Buddha’s Teaching mentioned above, which more clearly and thoroughly expounds his interpretation on some topics found in his other commentaries, i.e., Banyasimgyeong chan (般若心經贊, Ch. Boruoxinjing zan, Commentary on 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e) and lnwanggyeong so (仁王經疏, Ch. Renwangjing shu, Commentary on Kāruṇikarāja-rāṣṭrapāla-prajñāpāramitā-sūtra). I propose a plausible interpretation of the unfamiliar phrase ”執我勝論甚違聖教佛自許為解脫菩蕯” in Banyasimgyeong chan, based on similar references in SNST. This phrase, never found in the extant Tripitakas, appears in the Non-Being (sūnya) and Being (bhāva) controversy between Bhāvaviveka and Dharmapāla. I then elucidate the complexity of Woncheuks interpretation of this controversy, using quotes from Dharmapāla’s Dechengguangbailunshi lun (大乘廣百論釋論, Commentary on Āryadeva's Catuḥśataka) in SNST, in comparison with texts in the Inwanggyeong so which presents and interprets the same quotations in a slightly different context. In conclusion, I demonstrate that SNST is an essential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thought of Woncheuk.

목차

요약문
Ⅰ. 머리말
Ⅱ. 본론: SNST에 의한 한문 텍스트 교정 및 보충의 실례
Ⅲ.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규언(Jang, Gyu-eon). (2013).『해심밀경소』티벳어역의 사료적 가치. 불교학연구, (35), 7-60

MLA

장규언(Jang, Gyu-eon). "『해심밀경소』티벳어역의 사료적 가치." 불교학연구, .35(2013): 7-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