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도ㆍ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실태 조사

이용수 934

영문명
The Examination of the Curriculum Organizationㆍoperation Conditions for Students with SevereㆍMultiple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김은주(Kim, Eun-Joo) 강영택(Kang, Young-Taek) 권택환(Kwon, Taeg-Hwan) 이인(Lee, In)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1호, 163~18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4,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ㆍ운영현황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56개 특수학교와 무선표집하여 응답한 특수학교(급) 교사 1,7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은 6,160명으로 2012년 4월 현재 특수학교 재학생 24,661 명의 25% 정도가 중도ㆍ중복장애학생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학생들을 위해 449개 학급에서 별도로 중도ㆍ중복장애 학급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대처 방안이 시급하게 요구되었다. 이에, 향후 추진되는 중도ㆍ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서는 대상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을 동시에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중도ㆍ중복장애학생들에 대한 적용 교육과정 유형으로는 대부분의 학교들이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과정 범주 안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추진되는 중도ㆍ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중도ㆍ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을 그 대상으로 포함시키고, 교과 교육과정 위주로 제시하기보다는 대상 학생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 유형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중도ㆍ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현황에 대한 결과에서는 현재의 경직된 교육과정 편성 체제를 개선하거나 기준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운영할 수 있는 제반 여건 마련, 실생활 중심의 교육과정 제시, 학교에 자율성을 줄 수 있는 방안 모색, 장애에 따라 요구하는 발달영역 중심 교육과정 제시, 현재의 획일적인 교과 교육내용보다는 좀 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교육내용 필요, 대체ㆍ대안 교육과정으로서 기본 교육과정 기능과 역할 제고,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과정 개발과 그에 따른 교수ㆍ학습 자료의 개발 및 보급 등에 대한 연구 등이 요구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ganizationㆍoperation conditions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ㆍmultiple disabilities from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1,751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general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number of students with severeㆍmultiple disabilities attending special schools were 6,160, it was approximately 25% out of 24,661 students attending special schools in April, 2012. As 449 classrooms were separately set up and operate as classrooms for severeㆍmultiple disabilities, coping methods for these conditions were immediately required. Therefore, education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need to be considered for further curriculum improvement plans appropriate to students with severeㆍmultiple disabilities. Second, as curriculum types applied to students with severeㆍmultiple disabilities, most schools reorganized curriculum within the category of curriculum guided in national level. Therefore, the curriculum improvement plans for students with severeㆍmultiple disabilities in the future need to includ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ㆍmultiple disabilities in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they need to develop various curriculums according to needs of students rather than suggestions by subject-centered curriculum. Third, the results of the organizationㆍoperation conditions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ㆍmultiple disabilities shows the preparation of circumstan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 system of the current rigid curriculum or the suggestion of a standard curriculum, the suggestion of a curriculum based on real life, the exploration on the methods for providing autonomy to schools, the provision of curriculum based on developmental areas requi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abilities, the need of education contents with various selections more than the rigid subject education contents in the present. consideration of functions and roles of basic curriculum as replaceableㆍalternate curriculum,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parat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ㆍmultiple dis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instructionㆍlearning materials for separate curriculu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주(Kim, Eun-Joo),강영택(Kang, Young-Taek),권택환(Kwon, Taeg-Hwan),이인(Lee, In). (2013).중도ㆍ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실태 조사. 특수교육학연구, 48 (1), 163-185

MLA

김은주(Kim, Eun-Joo),강영택(Kang, Young-Taek),권택환(Kwon, Taeg-Hwan),이인(Lee, In). "중도ㆍ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실태 조사." 특수교육학연구, 48.1(2013): 163-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