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공과를 졸업한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가정에서의 삶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이용수 619

영문명
A Participant Observation Study on Adult Residential Life of Unemployed Graduat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ing on Necessity of Transition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김영준(Kim, Young Jun) 강경숙(Kang, Kyung Sook)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1호, 71~10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4,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적장애 졸업생들의 성인 가정생활에 대한 현상과 모습은 곧 이들이 학교 교육과정에서 전 학령기 동안 전환교육의 측면을 얼마나 충실히 특수교육과정 상에서 반영해 왔는지의 그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특수교육의 결과에 있어 주요한 원리와 목적으로 그 필요성이 강조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 입각하여서, 21세 지적장애 졸업생한 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기법 중 하나인 참여관찰을 통해 지적장애 졸업생의 성인 가정생활에 대한 삶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에 대한 가정에서의 삶 모습은 총 7가지의 유형으로 수집ㆍ분석되었는데, 의존적ㆍ무기력한 생활 패턴 지속, 고립적이고 방치된 시간들의 연속, 직업 활동을 갈망하는 소꿉놀이의 지속, 소아적인 퇴행으로 가득 찬 일상, 어머니의 주거생활 교수에 대해 거부하는 일상, 주거환경 변화에 따른 정서적 주의산만 연속, 형제에게 심리적 부담과 고통을 주는 존재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연구 참여자가 성인기에 이르기 전 학령기 동안 전환교육을 적용받아 오지 못한 한계를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전환교육의 필요성 측면에서 연구 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와 함께 상호 비교하면서 결론 및 논의를 제시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교육현장에서 전환교육을 학령기중심 측면에서 특수교육 교육(과)과정의 정형화된 요소로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conditions and affairs about adult residential life of unemployed graduat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deciding how special education scene has been faithfully reflecting the aspects of vocational transition education for the entire school age, and thus, its necessity is being emphasized with its important principle and purpose as the result of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is aspect, this study examined conditions and affairs about adult residential life of unemployed graduat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one of the qualitative study methods, by targeting one graduate. As a result, the story of adult residential life of the study target was collected and analyzed into total 7types; continuance of dependent and lethargic life pattern; continuance of isolated and neglected rimes; continuance of a playing house of longing for employment activity; daily life of childish retrogression; life of refusing one's mother as life intervention; continuance of emotional distraction due to chang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existence of causing psychological burden and pain to siblings.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plainly confirmed limitation of the study target for nor receiving transition education for the entire school age until his adult stage. This study could suggest conclusions and discussions along with the result of the precedent studies with respect to necessity of transition educa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required to apply transition education as the formative el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terms of focusing on school ag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교육적 함의 및 시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준(Kim, Young Jun),강경숙(Kang, Kyung Sook). (2013).전공과를 졸업한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가정에서의 삶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8 (1), 71-101

MLA

김영준(Kim, Young Jun),강경숙(Kang, Kyung Sook). "전공과를 졸업한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가정에서의 삶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8.1(2013): 71-1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