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은퇴에 따른 가계경제구조의 변화

이용수 621

영문명
The Changes of Household Economic Structures according to Retirement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이희숙(Lee, Hee Sook) 김민정(Kim, Min-jeung) 곽민주(Gwag, Min Joo)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16권 제2호, 171~2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5년도에 은퇴한 가계를 대상으로 2007년과 2009년의 가계경제구조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데이터는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의 1차년도(2005년), 2차년도(2007년), 3차년도(2009년)자료로 가구주가 2005년에 은퇴한 가계를 추출하였으며, 이러한 가계들 중 3개년도 조사 모두에 참여한 가계와 적어도 1회 이상 참여한 가계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데이터의 특성상 1차년도(2005년) 자료의 소득과 지출은 은퇴직전인 2004년도 자료이고 자산은 은퇴 당해연도에 보유하고 있던 자산이 되어 은퇴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비교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첫째, 은퇴자 가계에서는 은퇴에 따라 근로소득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소득 감소분을 충당하기 위해 공적이전소득이나 사적이전소득에 의존할 뿐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사용하여 감소된 소득을 대체하지는 않고 있었다. 둘째,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은퇴직전소득 대비 은퇴이후소득의 대체율을 살펴본 결과 은퇴직후의 은퇴소득대체율은 72%였고 은퇴 후 3년 경과시점에서의 은퇴소득대체율은 70%로 2%p 정도의 감소가 있었으나 OECD 국가에서 주로 적용하는 소득대체율의 범위에 포함되었다. 셋째, 은퇴자 가계의 총소득이 은퇴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과는 달리 은퇴 이후 소비지출 수준은 은퇴직전과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고 은퇴 후 3년이 경과된 시점에서야 감소하였다. 따라서 예비은퇴자들이 은퇴 후 생활비를 예상할 때 은퇴 전 생활비와 동일한 수준으로 예상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연구결과2의 지출구조 분석결과에서 은퇴후 1년이 경과된 시점에서의 소비대체율은 100%를 초과하였으나 은퇴 후 3년이 경과된 시점에 달해서야 소비지출 수준이 감소하여 80% 정도의 소비대체율을 보였다. 이는 은퇴 전후 소비지출수준이 큰 변화가 없어 생애 주기가설의 소비평준화를 반영하고 있으나 은퇴충격의 결과가 즉각적으로 반영되지는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은퇴자 가계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은퇴 후에도 은퇴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감소한 소득을 충당하기 위해 보유자산을 사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은퇴자 가계를 대상으로 보유자산의 운용 및 활용 방안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households after retirement comparing to right before retirement. Data were drawn from the 1st~3rd KReIS data, and only the cases, that householder has retired in 2005, were selected. Two data sets were made. That is, the household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ll three, 1st~ 3rd(2005, 2007, 2009) survey and households participated survey at least once. The income and expenditure of the first survey data(2005) is the value of just right before retirement. And the assets is the value of the year of retiremen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tirement, the labor income decreased rapidly with times, whereas the private public transfer income increased. However, total income was decreased. This results implied that retirees have not dissave their assets.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substitution rate of income after retirement to the income right before retirement using longitudinal data, after a year of retirement, the rate of retirement income substitution was found to be 72%, and after three years, the rate decreased by 2% to 70%. Third, unlike the trend in which the overall income of retiree’s households decreases, there was no big change in consumption expenditure level compared to the time right before retirement, and only after three years of retirement, it started to decrease. Those results implied when preliminary retirees anticipate their living expenditure after retirement, they anticipate the same amount of money they used before retirement. Forth, in the result of expenditure structure analysis of Analysis 2, after a year of retirement, the rate of consumption substitution exceeded 100%, and only after three years of retirement, the level of consumption expenditure decreased with rate of 80%.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nditure of retiree’s households aimed for standardization in consumption according to life-cycle income hypothesis, but because of the life-time event called retirement, relative income hypothesis is being applied. Finally it was shown that the households of retirees kept the same level of their assets after retirement compared to the time before retirement. Which means they did not dissave their assets in order to replace their decreased income. Those results imply that the education regarding asset management and employment for the households of retirees might me necessar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3개년도 모두 참여한 2005년 은퇴자가계
Ⅴ. 연구결과 2: 1개년도 이상 참여한 2005년 은퇴자가계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희숙(Lee, Hee Sook),김민정(Kim, Min-jeung),곽민주(Gwag, Min Joo). (2013).은퇴에 따른 가계경제구조의 변화. 소비문화연구, 16 (2), 171-200

MLA

이희숙(Lee, Hee Sook),김민정(Kim, Min-jeung),곽민주(Gwag, Min Joo). "은퇴에 따른 가계경제구조의 변화." 소비문화연구, 16.2(2013): 171-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