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거이동이 주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1122

영문명
Analyzing the Effect of Residential Mobilit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권기현(Ki-Hyun Kwon) 정지은(Ji-Eun Jeong) 전명진(Myung-Jin Jun)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21卷 第2號, 189~21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0년 주거실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주거 이동 특성이 현재의 주거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순서형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에서 단독주택으로 이사한 사람들의 주거 만족도가 가장 향상되었으며 단독주택에서 아파트, 혹은 아파트에서 아파트로 이주한 사람들의 주거 만족도가 그 다음으로 높게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다세대/다가구 주택에 거주했거나 현재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주거 만족도는 참조집단 (단독주택- 단독주택)보다 훨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세대/다가구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주거 이동은 그들의 주거 만족도 개선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차가에서 차가로의 이주보다 자가에서 자가로 이주한 사람들의 주거 만족도가 가장 향상되었으며 차가에서 자가로 이주한 사람들의 주거 만족도가 그 다음으로 높게 향상 되었다. 셋째, 주거지 이동에 따른 주거 만족도를 보면 수도권으로의 이동이 주거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분석되어 수도권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은 직장, 교육 등 경제사회적 이유로 수도권으로 이주하지만 주거 이동에 따른 상당한 비용 (주거 만족도 감소)을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린환경요소는 모두 주거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변 자연환경과 대기질의 확률 비율 (odds ratio)이 각각 2.6과 2.4로 나타나 이들 요소가 주거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파악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residential mobilit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using 'The 2010 Korea Housing Survey' data. We used ordered logit model to estimate the effects of residential mobility. There are several findings worthy to note. First, households who moved from an apartment to a single-family housing have the highest residential satisfaction, while households who moved within multifamily housing units have the poorest residential satisfa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low-income people who live in the multifamily housing hardly improve their residential condition through residential mobility, possibly due to the poor housing conditions of multifamily housings. Seco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owner-occupier is higher than that of renters, indicating that owning a house is positively related to housing satisfaction. Third, residents who moved from the non-SMA (Seoul metropolitan area) to the SMA have a reduced residential satisfaction, implying that migration to the SMA is involved with the reduction of housing satisfaction, possibly due to high living cost and poor environmental amenity in the SMA. Lastly, the proxim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high air quality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고찰
Ⅲ. 주거이동과 주거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기초통계분석
Ⅳ. 주거이동이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기현(Ki-Hyun Kwon),정지은(Ji-Eun Jeong),전명진(Myung-Jin Jun). (2013).주거이동이 주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택연구, 21 (2), 189-213

MLA

권기현(Ki-Hyun Kwon),정지은(Ji-Eun Jeong),전명진(Myung-Jin Jun). "주거이동이 주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택연구, 21.2(2013): 189-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