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택여과과정의 실증분석

이용수 523

영문명
Housing Filtering Process and Supply Effect of Housing Redevelopment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김미경(Mi-Kyoung Kim) 이창무(Chang-Moo Lee)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21卷 第2號, 23~4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택재개발사업의 신규 주택 공급에 따라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주거이동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주택여과과정이 발생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재울뉴타운사업으로 인해 주거이동이 발생한 가구를 연쇄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주거이동을 통하여 각 가구들의 주거수준은 평균적인 의미에서 향상되고 있음을 관측할 수 있었다. 또한 동일주택의 승계과정에서 이전과 현재 거주가구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이전 거주가구에 비해 현재 더 낮은 소득수준의 가구가 점유함으로써 주택이 하향여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특히 2차 연쇄고리의 조사 가구간 주택 승계에서 소득이 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 계층에서 주택의 하향여과를 통해 주거 수준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가재울뉴타운사업으로 인한 주거이동연쇄가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는 경우 수도권 주택시장 내에서 적지 않은 주택공급의 파급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주택재개발사업으로 발생하는연쇄적인 주거이동을 통해 가구들은 주거소비의 수준을 전반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신규 주택공급으로 인한 간접적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이러한 소비 조정이 연속될 경우 저소득층의 주거 수준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Due to rising income of citizens and consequent urban growth, there has been a persistent increase in housing demand in Seoul. In this housing market condition, lack of developable land has required redevelopment of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in Seoul. Even though it is accepted that redevelopment has been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increase required housing supply and to achieve efficient land use within the inner city areas, but there have also been strong arguments on its side effects. There have been unclear investigations on the existence of filtering process in the Korean housing market. In order to justify the redevelopment of inner city areas, the new medium-sized houses supplied by the redevelopment projects should initiate chains of residential mobilities up to small and deteriorated houses for low-income households. Focusing on these issues, this study investigates supply effects of redevelopments through housing filtering process. We traced the chains of residential mobilities and surveyed the current residents living in the chained addresses. The results show that households have generally improved their housing quality by residential mobility triggered by new housing supply in redevelopment and the existing housing units have filtered down from higher to lower income households. In addition, the pattern of residential mobility implies that supply effect could be spread throughout the housing market by vacancy chain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주민설문조사
Ⅳ. 주택여과과정 실증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경(Mi-Kyoung Kim),이창무(Chang-Moo Lee). (2013).주택여과과정의 실증분석. 주택연구, 21 (2), 23-45

MLA

김미경(Mi-Kyoung Kim),이창무(Chang-Moo Lee). "주택여과과정의 실증분석." 주택연구, 21.2(2013): 23-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