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콘텐츠 산업 수출 확대 방안

이용수 445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경제연구원
저자명
김창배 정상철
간행물 정보
『한국경제연구원 세미나자료』세미나 자료 12-14, 85~10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03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 콘텐츠 산업의 현황 ㅁ 2011년 콘텐츠산업, 경제전체에 비해 양호한 성적 - 콘텐츠산업 총 매출액은 82.4조원으로 전년대비 약 14.3%증가 - 사업 종사자수도 59.6만명으로 전년대비 2.5% 증가 - 수출액 4.7조원으로 전년대비 27.8%증가. • 콘텐츠산업중 수출액이 가장 높은 산업은 게임(2.6조원)으로 전체 수출액의 58.2%를 차지 <표 1> 2011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口 고용 현황 - 2011년 기준 약 60만명으로 한국 전체 고용의 3.43% 비중 차지 • 출판(201천명,33. 7%), 게임 (97천명,16.3%), 음악(79천명,13.3%), 지 <표 2> 한국 콘텐츠산업의 고용 - 타 산업 대비 높은 고용유발효과 • 문화산업의 고용유발계수는 10억원당 약 12명으로 전체산업 (8.6), 자동차(7.2) , 반도체 (4.9)를 훨씬 상회 - 청년 및 여성이 선호하는 신규 유망 직업이 확대되고 타 산업 대비 고학력자 비중이 높다는 특징 • 출판 • 만화 • 광고산업을 제외한 대부분 산업에서 29세 이하 및 30~34세의 종사자 수가 50%를 상회하며 지속적으로 증가 • 콘텐츠산업 종사자의 고학력 (4년제 대졸업이상) 비중은 62.8%로 제조업 (22%)과 서비스업 (30.9%)을 훨씬 능가 <표 3> 주요 산업 고용의 교육수준별 분포 口 수출 현황 - 콘텐츠산업, 점차 내수에서 수출 위주 산업으로 입지 강화 • 한국, 2011년 콘텐츠 수출액 약 41. 6억 달러로 전년비 29% 증가 • 산업별로는 게임 수출(53%, 22억불)이 가장 큰 비 중을 차지. 지식정보(10%, 4.2억불), 캐릭터 (9%, 3.8억불),출판(8%,3.1억불) 등 순 • 지역별로는 일본으로의 수출(26%, 8억불)이 가장 큰 비중 차지, 중국(25%, 7.5 억불), 동남아(22%, 6.7억불) , 북미(13%, 4억불) 등 순 • 최근 7년간(2005~2011년) 콘텐츠산업의 수출 성장률은 연평균 21.6%로 우리나라 전체 산업의 11.8%를 약2배 가까이 상회 • 2008년 이후 흑자 전환, 이후 흑자 폭 확대 • 2007 년 14억달러 적자, 2008년 4억달러 흑자, 2011년 25억달러 흑자 - 하지만 세계 콘텐츠시장에서 한국 비중은 아직 미미 • 2011년 전세계 콘텐츠산업의 시장 규모는 2011년 1조 4,195억달러로 미국 31.2%, 한국은 2.4%를 점유 <표 4> 2006-2011 콘텐츠산업 무역 추이 ㅁ 콘탠츠 산업 육성 및 수출 확대를 위한 정부 정책 현황 ◊ 콘텐츠산업진흥기본계획 (2011년 5월) - 콘텐츠산업진흥예산을 정부예산의 1%로 확대 (현 0.2%) ◊ 문화콘텐츠 수출 확대 전략(2012년 2월) - 4대 중점과제를 통해 2020년 문화콘텐츠 수출을 224억달러로 확대 • 경쟁력 있는 콘텐츠 육성. 전략적 해외시장 진출, 지속 성장을 위한 지원 체계 마련, 쌍방향 문화교류 확대 ◊ 콘텐츠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2012년 4월) - 2015년까지 수출액 2배(’ 11년 42 억 달러→ ’ 15년 83억 달러) - 국가브랜드 현대문화(이미지) 순위 10위(’ 11년 20위) ◊ 서비스산업 해외진출 촉진방안(2012년 7월) - 서비스업중 상대적으로 비교우위를 지닌 해외진출 우선업종과 우선 진출국가를 선정하고 이를 뒷받침할 진출전략을 수립 • 의료 : (경제부국) 미국, UAE, (개도국 카자흐스탄, 중국, 러시아 • 콘텐츠: (선진국) 미국, 일본, 독일 (개도국) 중국, 태국 • 이러닝: (이러닝발전국) 미국 (이러닝도입국) 중국 • 엔지니어링: 베트남과 중국 2. 콘텐츠 산업의 수출의 문제점 口 콘텐츠 수출,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1%미만 - 우리나라 전체 수출 대비 콘텐츠 산업의 비중은 2005년 0.46% 에서 2011년 0.75%로 높아졌지만 콘텐츠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 10년 GDP대비 부가가치 비중 2.7%)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음 口 장르 및 지역별 편중현상이 심화 - 장르별로는 게임산업의 수출비중이 2007년 40% 에서 2010년에는 약53%까지 상승 - 지역별로는 충국, 일본 동남아 등 아시아 시장에 대한 한국 문화콘텐츠 수출비중이 2007년 59% 에서 2010년에는 73%로 상승 • 반면 지리적, 문화적으로 거리가 먼 미국, 캐나다 등 북미시장은 13% 수준 <그림 1> 콘텐츠산업 장르별, 지역별 수출 비중(2010년) 口 수출 지원 규모 및 체계 미흡 - 2011년 문화부의 콘텐츠분야 예산은 약 5천억원으로 국가전체 예산의 0.16% 에 불과. 문화산업 관련 예산이 약 0.5% 인 영국의 1/3 에 불과 - 부처 간 정책 혼선 및 정책조율 기능 미흡에 따른 정책 신뢰도 저하

영문 초록

목차

1) 콘텐츠 산업의 현황
2) 콘텐츠 산업 수출의 문제점
3) 콘텐츠 수출확대를 위한 정책제언
4) 콘텐츠 산업 수출확대의 국민 경제효과 분석
콘텐츠 산업 수출 확대 방안(요약)
“콘텐츠산업 수출 확대정책의 개선방향” 토론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창배,정상철. (2012).콘텐츠 산업 수출 확대 방안. 한국경제연구원 세미나자료, 12 (14), 85-105

MLA

김창배,정상철. "콘텐츠 산업 수출 확대 방안." 한국경제연구원 세미나자료, 12.14(2012): 85-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