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uditory P300 Responses Evoked by Perceptually Different Between-Category CV Stimuli

이용수 156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지영(Ji Young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7권 제3호, 499~507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말소리에 대한 Event related potentials (ERP) 연구들은 P300가 범주 지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같은 음소 범주에 속하는 혹은 다른 음소 범주에 속하는 자극들을 이용하여 P300 반응이 음성적인 프로세스 외에 음향적인 프로세스와도 관련이 되어 있는 가가 연구되었으나 결과에는 논란이 있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소 범주 사이에 있는 자음-모음(CV) 자극에 의해 P300가 유발되는지, 유발된다면 표준자극으로부터 이탈되는 정도에 따라 민감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방법: 10명의 정상청력 성인을 대상으로 양자극방안을 이용하여 P300를 측정하였다. 말소리 연속체의 판별 검사 결과에 따라 1개의 음소 범주내 CV가 표준자극으로, 2개의 음소 범주 간 CVs가 이탈자극(약한 이탈자극과 강한 이탈자극)으로 사용되었다. 총 600개의 자극은 480개의 목표자극 (80%), 60개의 약한 이탈자극(10%), 그리고 60개의 강한 이탈자극(10%)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P300가 약한 이탈자극과 강한 이탈자극에 의해 모두 유발되었으며, P300 진폭은 약한 이탈자극보다 강한 이탈자극에 대해 유의미하게 크게 나타났다. P300 진폭은 전두부보다 중앙ㆍ두정부에서 유의미하게 크게 나타났다. P300 잠복기는 자극조건과 두피분포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P300가 표준자극으로부터의 이탈 정도에 따라 다르게 유발됨으로써 P300가 음성학적인 단계뿐 아니라 음향학적인 단계의 프로세스를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300는 중앙ㆍ두정부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유발되었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P300 reflects the categorical perception of speech sound. Using within-category or across-category stimuli, research has reported the controversial findings whether the P300 represents phonetic processing rather than acoustic processing, or acoustic processing as well. The present study explored whether the P300 response is sensitive to the perceptually different between-category consonant-vowel (CV) stimuli, and if so, whether the P300 response varies as a function of deviancy of between-category CV stimuli. Methods: The P300 was measured in an oddball paradigm from 10 normal hearing adults. Based on the results of identification test of a speech continuum, 1 within- category CV was selected as a standard stimulus and 2 between-category CVs were selected as deviant stimuli. The 2 deviant stimuli consisted of the weak deviant (WD) and strong deviant stimuli (SD). A total of 600 stimuli were composed of 480 standard stimuli (80%), 60 WD (10%), and 60 SD (10%). Results: (1) the P300 was elicited by both WD and SD, (2) the P300 amplitude was larger in SD than WD, (3) the P300 amplitude was larger over central and parietal regions than the frontal region, and (4) the P300 latency was not different for deviancy condition and scalp distribution.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300 can reflect the sub-phonetic or acoustic processing of speech sound. The scalp distribution of the P300 is more dominant in the centro-parietal region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영(Ji Young Lee). (2012).Auditory P300 Responses Evoked by Perceptually Different Between-Category CV Stimuli.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7 (3), 499-507

MLA

이지영(Ji Young Lee). "Auditory P300 Responses Evoked by Perceptually Different Between-Category CV Stimuli."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7.3(2012): 499-5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