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대전 지역 제언의 입지적 특성

이용수 339

영문명
A Study on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Je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Case Study of Daejeon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권선정(Seonjeong Kwon)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4권 제3호, 72~94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언은 산곡을 가로막아 계곡물을 이용하는 전통사회의 대표적인 수리시설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현 대전 관내에 있었던 제언을 대상으로 그 현황을 정리해 보고, 미시적 차원에서 그것의 구체적 위치를 비정하여 제언의 입지적 특성 및 규모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휘기 대전 지역에는 문헌상 회덕현 17개ㆍ공주목 관할 16개 중 10개ㆍ진잠현 9개 등 총 36개 제언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는데, 1900년대 초에는 상당수가 사용되지 않게 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들 제언 중 30개 사례의 입지를 비정해 보았는데, 대부분 주변 산지와 마을 앞에 펼쳐져 있던 들판이 만나는 경사변환점에 축조되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자연적인 지형 상황을 이용해 구배를 확보함으로써 관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환경적응적 조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언의 입지적 특성은 그 규모 및 몽리면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대부분의 제언이 충청도 평균치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 제언 규모가 커질수록 상대적으로 규모-몽리면적 간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었다. 향후 본 연구와 같은 미시적 수준의 사례 연구, 보(천방)를 포함한 수리시설 전반에 대한 후속 연구 등을 통해 근대이행기 지역의 변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엿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Jeeon(堤堰) was one of the important irrigation facilities to dam up for providing paddy fields with mountain streams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Je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assuming the concrete location of Jeeons which had been kept in Daejeon for a long time. For the assumption of the location of Jeeon, I made use of not only old geographical records and old maps, but also place-name records and geomorphological maps which were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the current referential materials. Along with these investigations, I carried out lots of field studies for the micro-experiential examinations. In conclusion, almost all of Jeeons in Daejeon assumed to have been constructed on the knickpoint where the mountain valley was bordered by paddy field in front of village. Such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Jeeon is closely related to the size of Jeeon and the area to benefit from Jeeon. Most of Jeeons in Daejeon were a little smaller than the mean size of other Jeeons in Chungcheong Province at that tim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size of Jeeon and the beneficial area showed very interesting tendency: the larger the size of Jeeon increased, the smaller a ratio of the size of Jeeon to the beneficial area became.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조선후기 대전 지역의 제언 현황
3. 대전 지역 제언의 입지 및 규모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선정(Seonjeong Kwon). (2012).조선후기 대전 지역 제언의 입지적 특성. 문화역사지리, 24 (3), 72-94

MLA

권선정(Seonjeong Kwon). "조선후기 대전 지역 제언의 입지적 특성." 문화역사지리, 24.3(2012): 72-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