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태산문화 전개와 한국의 수용 양상
이용수 374
- 영문명
- Mt. Taishan Discourses in China and Taishan Culture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최원석(Won-Suk Choi)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24권 제3호, 52~71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동아시아의 산악문화는 역사, 종교, 생활사, 사상 등의 다방면에서 큰 문화적 비중을 차지한다. 이 글은 동아시아 산악문화를 구성하는 한 요소인 태산문화를 중국의 역사적 담론 전개와 한국의 문화적 수용양상의 측면으로 살폈다. 중국에서 태산을 둘러싼 정치ㆍ문화적 담론은 황제의 封禪,오악, 태산의 장백산 祖宗說, 민간신앙의 태산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한국에서 태산문화는 민간계층에 생활언어적이고 문화종교적인 면이 강하게 반영되었다. 그 양상은 생활용어로 기호화된 공간이미지, 지식인의 명산문화, 그림ㆍ지도 등의 지리지식과 지리정보, 태산 지명과 경관의 공간적 재현, 태산과 불교 신앙의 결합 등으로 나타났다. 태산문화의 공간적 수용 방식은 조선후기에 유교 이데올로기와 연계ㆍ매개되어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tudied on Mt. Taishan discourses in China and Taishan culture in Korea. I searched for the effects of the Chinese Taishan and Taishan discourses to Korea, and searched for the accepting way on the formation of Korean Taishan culture. Chinese Taishan discourses are as follows, the emperor’s rite on Taishan, the five mountains and Taishanm the argument of the Taisha’s mountain range originate from Mt. Janbak(長白), Taishan of folk belief. Koran Taishan culture strongly showed the aspects of the people’s linguistic and folk belief, which through the mediums or connections of the linguistic spatial image, the intellectual’s famous mountain culture, the geograph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like a map, Confucian ideology and Confucius, the folk Buddhism and indigenous belief.
목차
요약
Abstract
1. 머리말
2. 동아시아의 산악문화와 태산문화
3. 중국의 태산문화 전개와 영향
4. 한국의 태산문화 수용 양상과 방식
5. 요약 및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후기 대전 지역 제언의 입지적 특성
- 한국지명의 문화적 특징에 대한 예비 토론
- 아리스토텔레스 ‘Topos(τóπoç)’의 지리학적 해석
- 순한국말 지명과 한자 표기의 관계를 통해 본 石島ㆍ獨島 고찰
- 『땅의 마음: 풍수사상 속에서 읽어내는 한국인의 지오멘털리티』
- 이방인의 권리와 환대의 윤리: 칸트와 데리다 사상의 지리학적 함의
- 다문화주의의 지리에서 인종 및 민족집단의 지리로 (1): 인종 및 민족집단에 대한 사회공간적 논의의 성찰
- 중국의 태산문화 전개와 한국의 수용 양상
- 제15차 국제역사지리학자회의(ICHG) 참가 후기
- 중국ㆍ북한 국경 답사기: 백두산 토퇴군(土堆群)의 새로운 발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야외박물관으로서의 경주 남산 만들기 : 1950-90년대 지역문화공동체의 유산 실천을 중심으로
- 제주해녀문화 관광자원화의 진정성과 지속가능성 - ‘해녀의 부엌’을 사례로
- 칼 사우어(Carl O. Sauer)의 문화·역사지리학에 투영된 환경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