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이전의 한국 민간경비제도 고찰

이용수 258

영문명
Korean Private Security Systems in Pre-modern Era
발행기관
한국민간경비학회
저자명
김우준(Kim, Woo Jun)
간행물 정보
『한국민간경비학회보』韓國民間警備學會報 第11券 第2號, 51~7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의 조사ㆍ분석을 통하여 고대 연맹국가시대,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1863년 이전)라는 시대적 구분을 기준으로 각 시기별로 주요한 민간경비제도들을 소개하고그 특징점을 분석ㆍ정리하였다. 고조선의 위만이 거느린 유이민 세력과 부족민, 하호, 노비의 활동에서 고대 연맹국가시대의 민간경비 활동상을 추론할 수 있었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신라, 백제에서 공통적으로 귀족이 보유한 사병적 경비조직이 신변경호, 시설경비 등의 기능을 수행했음이 확인되었다. 통일신라기에는 장보고가 이끈 청해진세력은 보안산업의 기능을 수행했음을 알 수 있었고, 신라 하대에는 각 지방의 호족들이 사병을 보유하여 경비를 담당하였고, 지역의 호부층과 농민이 중심이 된 향촌의 자위조직이 형성되어 자율방범활동을 펼친 기록도 있다. 고려시대에는 무신집권기의 사설 경비 기구라 할 수 있는 도방, 가병, 마별초 등이 민간경비 기능을 수행하였으며, 고려말 조선초의 시기에 귀족ㆍ권력가 집단이 보유한 사병 집단은 왕조 교체의 주된 배경이 될 정도였다고 분석된다. 조선시대 초기에도 왕족 및 귀족이 사병을 보유하여 자경활동을 하였으며, 계유정란 등 정치사적 주요 사건에도 권세가의 사병ㆍ경비집단이 관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타 영조대의 꼭지단이나 흥선대원군이 부렸던 무력 집단에 관한 사료에서 조선시대에도 여러 형태의 민간경비 내지 사적 경비집단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의 설명이나 주장은 대부분 추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추후 후속 연구를 통하여 정밀하고 철저한 고증을 거쳐서 확인해 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으나, 많은 역사적 스펙트럼 속에서 민간경비사적으로 의미있는 사료들을 발췌ㆍ고증하여 후속 연구의 편의를 도모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considering about korean private security systems in pre-modern era; Go Joseon(old Joseon) period, Three kingdoms period, Koryo period, early Joseon period. In the Go Joseon(old Joseon) period, drifting people group led by Wiman could considered as a kind of private security group. And lower class people or slaves took a role as private security resources. It could be ascertained that private army group possessed by aristocrats performed as private security resources in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Chang pogo established Cheonghaejin(quasi-private naval base) on Wando Island and swept the pirates from the seas and led the overseas trade of East Asia Sea. In the late of unified Silla period, local aristocrats, the riches and peasants had a neighborhood crime prevention guard organizations as vigilante corps. In the Koryo dynasty military official administration, special organizations(for instance, Dobang, Mabyoulcho, Choi’s House troops) performed as a role of private security group. From late Koryo to early Joseon, private army group possessed by aristocrats contributed to open new dynasty(Joseon) era. In the Joseon period, some royal families and aristocrats possessed their own private army groups and held vigilance activities. Records of some critical political events like the Kaeyou-Jungran(a coup d’etat in 1453) testified that some royal families and aristocrats possessed their own private army groups. Focusing on historical scientific deduction, documentary researching method and domestic review of advanced research could be mentioned as limitations or flaws, but it has academic contributions and meaningfulness considering to construct the base of future studies, despite lack of related research.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고대 연맹국가시대의 민간경비
Ⅲ.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민간경비
Ⅳ. 고려시대의 민간경비
Ⅴ. 조선시대의 민간경비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우준(Kim, Woo Jun). (2012).근대 이전의 한국 민간경비제도 고찰.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1 (2), 51-70

MLA

김우준(Kim, Woo Jun). "근대 이전의 한국 민간경비제도 고찰."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1.2(2012): 5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