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복지의 모델과 통합원리 탐색

이용수 825

영문명
The model and principles for educational welfare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김경애(Kim, Kyung ae)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8권 제4호, 207~23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취약성과 교육 취약성 간의 연동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평생교육의 역할을 확인하고 평생교육의 관점을 접목한 교육복지 모델과 원리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취약성을 만들어내는 현대 ‘빈곤’과 그로 인한 교육적 불리함의 특성을 살펴본다. 현 시점에서 빈곤의 특성은 1) 상대성, 2) 고독성, 3) 예측 불허성, 4) 회복 불가성, 5) 증폭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빈곤한 삶으로의 전락이 자유의 억압, 가능성의 희박, 사회적 참여 기회 박탈을 가져와 학습자로서 불리한 상황에 빠지게 한다. 빈곤의 영향력이 막강하여 교육 형평성 추구를 통해서 사회ㆍ경제적 통합에 기여하는 것이 무망하다고 볼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 부문의 역할을 끊임없이 고민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첫째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교육형평성을 염두에 둔 접근의 가치가 격하되지는 않기 때문이고, 둘째는 형평성을 중요시하는 사회ㆍ경제적 구조와 문화를 만들어가는 일은 빈곤층의 참여 없이는 불가능한데 평생교육이 그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을 고려하여 교육복지 모델로서 기존의 결핍모델, 긍정모델, 첨가모델을 넘어서서 교육적 관점을 접목한 공참여(co-participation) 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은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통해서 공동체성을 살리는 가운데 상호학습 할 수 있는 체제를 지향한다. 이 모델을 활성화할 수 있는 체제 원리로 6가지 통합성을 제시하면, 먼저 학습자 및 학습자 집단의 측면에서 본 1) 삶의 영역 통합성, 2) 발달단계 통합성, 3) 가족 통합성, 4) 계층 통합성이 있다. 그리고 교육복지가 이루어지고 있는 장의 원리를 함축한 5) 지역 통합성, 마지막으로 정책 추진과정에서 요구되는 연계체제로서의 6) 정책 영역 통합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dentifies the roles of the lifelong education and explores the model and principles of educational welfare in this society where the link between the social-economic disadvantageousness and educational disadvantageousness is stronger. The characteristics of poverty in this era are 1) relativity, 2) solitariness, 3) unpredictableness, 4) restorableness, 5) amplification. A downfall to poverty leads people to freedom-free, gloomy prospect, and deprivation of chance to participate on social life. Finally it means a state of educational disadvantageousness. The power of poverty is so strong that most people agree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ntribute to a better social integration through pursuing of educational equity.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reasons to seek the role of education. First, the approach to educational equity should not be downgraded in any occasion. Second, the social equity prioritized society itself can only be made by unprivileged people themselves. And lifelong education can help them as a bridge-head to social participation. As a result, this article suggests a co-participation model as educational welfare model. This model orients us to the inter-learning system through participating among various social classes. The activating principles of this model are 1) various fields integrity, 2) life developmental stages integrity, 3) family integrity, 4) social class integrity, 5) community integrity, 6) policy area integrity.

목차

요약
Ⅰ. 문제제기
Ⅱ. 빈곤의 특징과 그로 인한 교육적 조건
Ⅲ. 교육복지 모델 탐색
Ⅳ.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애(Kim, Kyung ae). (2012).교육복지의 모델과 통합원리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18 (4), 207-237

MLA

김경애(Kim, Kyung ae). "교육복지의 모델과 통합원리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18.4(2012): 207-2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