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6.15 선언과 10.4 선언의 평가와 과제

이용수 1269

영문명
발행기관
북한학회
저자명
정규섭(Chung, kyu sup)
간행물 정보
『북한학보』北韓學報 第37輯 2號, 6~40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05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제1,2차 남북정상회담 개최의 의미와 배경,6.15공동선언 및 10.4선언의 합의내용을 중심으로 그 회담의 성과와 과제, 그리고 평가와 쟁점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특히 본 글에서는 6.15공동선언과 10.4공동선언 이 두 선언이 갖고 있는 문제점에 주목하면서 내용분석과 함의 등을 중심으로 건설적 대북정책의 재정립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제 1, 2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관계의 양적 증가는 결과적으로 2000년 6.15공동선언의 긍정적 부분만 부각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북한은 6.15공동선언과 10.4선언 이 두 선언의 실천을 주요한 대남전략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6.15 공동선언에서는 남북한이 그 동안 가장 예민하게 대립하여온 자주의 개념에 대해 완전히 일치를 보지 못했다는 점,연합제의 정의가 명확치 않고 헌법에 위배된다는 점,납북자와 국군포로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다는 점,민족경제의 개념이 명확치 않아서 일방적 지원으로 인한 북한의 군사적 능력 배양 가능성 등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10•4 합의에서는 6.15 선언일을 기념일로 지정해 남북관계를 이 틀 안으로 옭아매려고 한 점,국가보안법 무력화를 노린 사상,제도 존중 조항,북한에 NLL 시비 빌미 제공,대규모 경협 퍼주기 약속,무리한 약속으로 새 정부에 부담 등은 북한에 유리하고 우리에 게는 불합리한 합의라는 점도 명확하다. 정부의 대북정책을 둘러싼 갈등은 위의 합의 사항들을 비판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전개되는 것이 이 나라 지역,계급 등 다른 갈등들과 중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복합적 인식이 필요하다. 지난 10년의 대북정책 수행과정에서 남긴 교훈은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 하더라도 법적,제도적,절차적 정의가 없고 국민적 합의가 결여되면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고,정책의 결정과 집행과정이 투명하지 않으면 국민적 지지와 신뢰를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일방적인 대북정책으로 인해 현실사회에서는 오히려 갈등이 더욱 증폭되었으며, 이 위기의 본질은 소통과 통합을 통해 국민적 역량을 집중시키지 못하고 소모적인 대립과 분열로 치달음으로써 국력을 낭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국 가발전의 커다란 장애일 뿐 아니라 나아가 국가안보를 크게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여야를 넘어서는 초당적 협력을 토대로 법과 제도에 따라 투명하게 추진 함으로써 대북정책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높여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s, backgrounds, issues, and results of the June 15 Joint Declaration and the October 4 Declaration in critical ways by focusing on the terms of the agreement.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concentrate on the sensitive issues of the two declarations and consider constructive ways to reestablish the South Korean policy towards North Korea.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fter the South-North summits in 2000 and 2007 has allowed us to focus mainly on the positive aspects of the summits. However, North Korea uses the two declarations as major strategic tools in terms of the North Korean policy on South Korea. When it comes to the June 15 Joint Declaration, there are so many controversial issues that we need to realize politically. First, both Koreas do not agree with the exact meaning of Independence. Second, the definition of confederation is unclear and even against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Four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id not assert the issues of kidnapped people and prisoners during the Korean War. Last but not least, the meaning of national economy is not clear, so North Korea may use this opportunity to develop its armed forces through South Korea's economic aid. Furthermore, when it comes to the October 4 declaration, there are also so many controversial problems. First, both koreas overestimate the meaning of the declaration politically. Second, some parts of matters relating to North Korea’s ideology and political system is obviously against National Security Law of South Korea. Third, both Koreas did not agree with the apparent national border in West Sea called NLL(Northern Limit Line) issue, so it provides more reasons for North Korea’s invasion such as the West Sea battle in 1999 and 2002. Last but not leas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romises much economic aid to North Korea through South-North economic cooperation. These issues are very profitable to North Korea and very unfavorable to South Korea. There is growing recognition that conflict factors in the South Korean policy on North Korea easily combine various social issues such as a regional emotion and social class, so we need to see the issue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with various angles. The South Korean policy towards North Korea during the past 10 years gives a lesson that even if however the policy is effective and profitable for both Koreas, if our government does not build a national consensus on the policy, it could be meaningless and it would be very hard to achieve the policy goal. On top of that, if the process of polic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is not open and transparent, there will be a limit to induce political support from the majority of people. Apparently, it is an enormous hinderance in national development and long-term threats in national security as well. Therefore, we should try to build and reinforce productive national consensuses on the South Korean policy on North Korea by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and promoting the policy based on law and institution and bipartisan support.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남북 정상회담의 배경과 의미
Ⅲ. 6.15선언과 10.4선언 내용 분석
Ⅳ. 대북정책의 재정립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규섭(Chung, kyu sup). (2012).6.15 선언과 10.4 선언의 평가와 과제. 북한학보, 37 (2), 6-40

MLA

정규섭(Chung, kyu sup). "6.15 선언과 10.4 선언의 평가와 과제." 북한학보, 37.2(2012): 6-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