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부 뇌졸중 환자의 기능변화 및 관련요인
이용수 6
- 영문명
- Difference of Functional Outcome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Stroke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승주(Seung-ju Yi) 정성영(Seong-yeong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4권 제1호, 46~54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functional outcome,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functional difference in patients with stroke. The sample consisted of 56 stroke patients who had received physical therapy at the physical therapy unit of the Dongeui Medical Center in Busan city between January 2000 and June 2002. Stroke patients were evaluated by physical therapists 3 times; The first day in physical therapy (PT) (T1), one month after the first day in PT (T2), and two months after the first day in PT (T3). Functional status was assessed with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instrument, a validated instrument for documenting the severity of disability and assessing the outcome of rehabilitation treatment. Functional gain was calculated over T2-T1, T3-T1, and T3-T2. SAS statistical software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Student's t-test, paired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Tukey and Scheffe),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used to examine the functional difference in variables. Repeated measures ANOVA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functional difference by time (T1, T2, and T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ifference of functional outcome as defined by the FIM score. A total of 56 stroke patients were evaluated, their average age±standard deviation was 61.6±9.3 years (range: 40~81 yr). The functional status of patients who received physical therapy for about 2~3 months was significantly improved (mean FIM scores, 20.5±1.8, 28.9±1.9, and 8.41±1.1 points for each time period, respectively) (p<.0001). Diabet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FIM score for T2-T1 (p<.05). The type of diagnosi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FIM score for T3-T1 (p<.05). Gender, smoking, and the FIM score on admis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FIM score for T3-T2 (p<.05). In conclusion, gender, smoking, diabetes, the type of diagnosis, and the FIM score on admis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mproved FIM scores. We recommen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explore the functional outcome by using larger sample sizes, longer follow-up periods, and more sensitive assessment instrum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판 Western Ontario MacMaster(WOMAC)의 Rasch 분석
-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ABC)척도에 대한 라쉬분석의 적용
- 발병 후 3개월이 경과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에 물리치료와 작업치료가 미치는 영향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자세 조절과 일상생활동작, 근긴장도, 그리고 기능증진과의 관계
- 전침자극과 트레드밀운동이 허혈성 뇌졸중 백서모델의 근위축 및 BDNF 발현에 미치는 영향
- 일부 뇌졸중 환자의 기능변화 및 관련요인
- 노인의 단기집중 균형훈련이 하지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편마비 환자의 등척성 체간 신전 근력 평가
- 골관절염 여성의 임상적 특성 및 자기효능감이 기능수행에 미치는 영향
- 신경근전기자극이 체중 부하를 제거한 신생 흰쥐 골격근 조직의 MEF2C 및 VEGF 발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제16권 제2호 목차
- 성인 장애인의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 실태와 만족도 조사: 천안, 아산 지역을 중심으로
- 로봇 보조 재활 훈련을 적용한 뇌졸중 환자의 족저압과 버그균형척도의 상관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