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경근전기자극이 체중 부하를 제거한 신생 흰쥐 골격근 조직의 MEF2C 및 VEGF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 영문명
- Influence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MEF2C and VEGF Expression of Neonatal Rat Skeletal Muscle During Suspension Unloading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구현모(Hyun-mo Koo) 이선민(Sun-m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4권 제1호, 28~3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uspension unloading (SU) and electrical stimulation upon the development of neonatal muscular system. For this study, the neonatal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Ⅰ, and an experimental group Ⅱ. The SU for experimental group Ⅰ and Ⅱ was applied from postnatal day (PD) 5 to PD 30. The electrical stimulation for soleus muscle of experimental group Ⅱwas applied from PD 16 to PD 30 using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which gave isometric contraction with 10 pps for 30 minutes twice a day.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SU and ES, this study observed myocyte enhancer factor 2C (MEF2C)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mmunoreactivity in the soleus muscles at PD 15 and PD 30. In addition, the motor behavior test was performed through footprint analysis at PD 30. The following is the result. At PD 15, the soleus muscles of experimental group Ⅰand Ⅱ had significantly lower MEF2C, VEGF immunoreac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It proved that microgravity conditions restricted the development of the skeletal muscle cells at PD 15. At PD 30, soleus muscles of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Ⅱ had significantly higher MEF2C, VEGF, immunoreactivity than experimental group Ⅰ. It proved that the NMES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the skeletal muscle cells. At PD 30, it showed that SU caused the decrease in stride length of parameter of gait analysis and an increase in toe-out angle, and that the NMES decreased these vari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ight bearing during neonatal developmental period is essential for muscular development. They also reveal that NMES can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muscular systems by fully supplementing the effect of weight bearing,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in the neonatal developmental proces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판 Western Ontario MacMaster(WOMAC)의 Rasch 분석
-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ABC)척도에 대한 라쉬분석의 적용
- 발병 후 3개월이 경과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에 물리치료와 작업치료가 미치는 영향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자세 조절과 일상생활동작, 근긴장도, 그리고 기능증진과의 관계
- 전침자극과 트레드밀운동이 허혈성 뇌졸중 백서모델의 근위축 및 BDNF 발현에 미치는 영향
- 일부 뇌졸중 환자의 기능변화 및 관련요인
- 노인의 단기집중 균형훈련이 하지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편마비 환자의 등척성 체간 신전 근력 평가
- 골관절염 여성의 임상적 특성 및 자기효능감이 기능수행에 미치는 영향
- 신경근전기자극이 체중 부하를 제거한 신생 흰쥐 골격근 조직의 MEF2C 및 VEGF 발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제16권 제2호 목차
- 성인 장애인의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 실태와 만족도 조사: 천안, 아산 지역을 중심으로
- 로봇 보조 재활 훈련을 적용한 뇌졸중 환자의 족저압과 버그균형척도의 상관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