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단기집중 균형훈련이 하지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0
- 영문명
- Effects of Short-Term Intensive Balance Training for the Performance Ability of Lower Extremities in the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정순미Soon-mi Jung) 안덕현(Duk-hyun A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4권 제1호, 11~2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iscern the effects of a balance training program on the performance of lower extremities in order to improve strength (muscle power, flexibility, walking power), balance control and walking ability in the elderly. The subjects selected were aged 65 years and over, with no known relevant medical history that may disturb their balance, and have also been visiting the Gimhae Senior Welfare Center. The variable group consisted of 30 subjects, of whom were people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balance training programs (One Leg Standing; OLS, Functional Reach; FR, Timed Get Up and Go; TUG) as an intervention for 8 weeks 3 times per a week. They were examined in order to identify their balance control before and after.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thirty subjects who preferred to exercise without any intervention relating to balance training program. The subjec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balance training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and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combined with the aid of a Balance Performance Monitor. 1. Mean time on OLS test with left and right sided extrem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35.44 sec, 42.10 sec longer than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 FR test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mean reaching distance was increased up to 5.56 ㎝, 6.73 ㎝ in experimental group respectively. Mean time on TUG test from a chair in experimental group was decreased to 2.33 sec. 2. Mean value of decline in the level balance control, both left and right side, decreased to 2.24% as examined by the Balance Performance Monitor. Mean scores for sway level after balance training decrease to .98% and for balance control both anterior and posterior directions decreased to mean 1.07% and 1.44%, respectivel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판 Western Ontario MacMaster(WOMAC)의 Rasch 분석
-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ABC)척도에 대한 라쉬분석의 적용
- 발병 후 3개월이 경과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에 물리치료와 작업치료가 미치는 영향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자세 조절과 일상생활동작, 근긴장도, 그리고 기능증진과의 관계
- 전침자극과 트레드밀운동이 허혈성 뇌졸중 백서모델의 근위축 및 BDNF 발현에 미치는 영향
- 일부 뇌졸중 환자의 기능변화 및 관련요인
- 노인의 단기집중 균형훈련이 하지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편마비 환자의 등척성 체간 신전 근력 평가
- 골관절염 여성의 임상적 특성 및 자기효능감이 기능수행에 미치는 영향
- 신경근전기자극이 체중 부하를 제거한 신생 흰쥐 골격근 조직의 MEF2C 및 VEGF 발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제16권 제2호 목차
- 성인 장애인의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 실태와 만족도 조사: 천안, 아산 지역을 중심으로
- 로봇 보조 재활 훈련을 적용한 뇌졸중 환자의 족저압과 버그균형척도의 상관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