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고속성대촬영시스템을 이용한 정상 성인 성대 움직임의 질적 분석

이용수 676

영문명
Qualitative Analysis of Vocal Fold Vibration in Normal Adults with a High-Speed Video System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최성희(Seong Hee Choi) 최철희(Chul-Hee Choi)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7권 제4호, 591~60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정상 성대 움직임에 대한 정확한 영상 분석은 비정상적인 성대 움직임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데 결정적이다. 스트로보스코피와 달리, 초고속성대촬영시스템인 디지털영상법과 비디오카이모그래피는 기본주파수의 추출을 기본으로 하지 않는 후두 시각화 검사로 고주기해상도로 성대 진동의 생체역학적 평가와 성대 생리적 기능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스트로보스 코피검사가 현재 후두영상 표준검사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비주기성을 보이는 성대 움직임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개발된 초고속디지털영상법과 비디오카이모그래피가 동시 측정 가능한 초고속성대촬영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모음 발성시 성대 진동 특성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총 38명(남성 15명, 여성 23명)의 정상성인으로부터 보통 크기의 음도와 강도에서 모음/이/ 발성 동안 후두영상을 얻었으며, 2명의 경험 있는 평정자에 의해 초고속디지털영상법으로 성문폐쇄형태, 점막파동, 성대 진동의 진폭, 성대 진동의 규칙성, 성대 진동의 대칭성 및 주기의 폐쇄성의 시주관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특히, 초고속디지털영상법에 연결된 비디오카이모그래피를 사용하여 오른쪽-왼쪽 성대 간 주기성, 대칭성, 주기의 폐쇄성 및 점막 파동 패턴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결과: 후방간극형 폐쇄형이 총 38명 중 18명(54%)으로 가장 두드러진 성문폐쇄형태였다. 성별로는 여성은 후방간극형이, 남성은 완전폐쇄형이 가장 두드러진 성문폐쇄형태였다. 분석파라미터 중 점막파동, 성대진동진폭, 주기성, 대칭성은 성별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 > .05), 성대진동주기의 폐쇄성은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은 폐쇄주기를 점수를 보였다(p < .05). 점막파동과 성대진동 진폭은 대부분 정상 범주였고, 성대진동은 대부분 주기적이며 대칭적으로 나타났으나 비대칭적인 성대 진동 패턴도 13%정도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정상 음성은 후방간극형이나 완전폐쇄형이 가장 전형적인 성문패쇄형태였으나, 전방간극이나 모래시계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성문폐쇄형태가 관찰되었다. 성대진동의 비대칭성이나 비주기성은 정상 성대 움직임에서도 관찰되므로 이러한 진동 패턴이 성대 진동의 비정상을 의미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Reliable and accurate imaging analysis is critical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of abnormal vocal fold vibration. Unlike stroboscopy, high-speed digital imaging (HSDI) and videokymography (VKG) are frequency-independent visualization techniques that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biomechanical properties and vocal physiology by capturing increased laryngeal images within a limited time. Although the current gold standard for the clinical visualization technique of vocal fold vibration is stroboscopy, the technique may fail to yield an accurate analysis of vibratory irregulariti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vocal fold vibration pattern in normal Korean adults with a recently developed HSDI and VKG simultaneously. Methods: A total of 38 Korean healthy adults (females 23, males 15) without known voice problems were examined with HSDI to analyze the vocal vibratory characteristics. Glottal closure, mucosal wave, vibratory amplitude, vibratory symmetry, periodicity of vibration, and phase closure of the glottal cycle were judged during /i/ vowel phonation at comfortable pitch and loudness by 2 experienced raters to determine the normal vocal vibratory features, and compare the vibratory patterns for gender differences qualitatively. Additionally, VKG was used to determine in more detail the propagation of mucosal waves, right-left vocal fold symmetry, aperiodicity, and closed phase in the glottal cycle. Results: The most common glottal configuration was a posterior glottal gap in 54% of the study population. Posterior glottal gap was identified predominantly in females, whereas complete glottal closure was observed mostly in males. Mucosal wave, vibratory amplitude, vibratory symmetry, and periodicity of vibratory patter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 p> 0.05), whereas adult males predominantly showed closed phase in the glottal cycle compared to females ( p< 0.05). The ratings of mucosal wave and vibratory amplitude were observed to be around normal mark. However, asymmetry of vibration between right and left vocal folds was identified in 13% of the study population with the HSDI and VKG. Discussion & Conclusion: Although normal voice demonstrated predominantly posterior glottal gap or complete glottal closure configuration, various glottal configurations including anterior glottal gap and hourglas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asymmetry and aperiodicity of vocal vibration were also observed in normal adults suggesting that asymmetric and aperiodic vibration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bnormal vibratory patter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희(Seong Hee Choi),최철희(Chul-Hee Choi). (2012).초고속성대촬영시스템을 이용한 정상 성인 성대 움직임의 질적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7 (4), 591-602

MLA

최성희(Seong Hee Choi),최철희(Chul-Hee Choi). "초고속성대촬영시스템을 이용한 정상 성인 성대 움직임의 질적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7.4(2012): 591-6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