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특성

이용수 4373

영문명
Reading Skills and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without Poor Reading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미배(Mibae Kima) 배소영(Soyeong Paeb)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7권 제4호, 565~58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저학년과 고학년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이해, 음운해독, 읽기유창성, 듣기이해, 음운기억, 빠른 이름대기, 음운인식, 어휘력의 특성을 살펴 읽기부진 아동의 평가 중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 저학년(1∼3학년) 45명, 고학년(4∼6학년) 38명, 총 83명의 읽기부진 아동과 학년, 거주지역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낱말에서의 음운해독과 문단글 읽기유창성을 측정하여 글자를 읽는 능력에서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해력면에서 듣기 및 읽기이해능력이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저학년과 고학년에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읽기에 관련이 깊다고 보고된 어휘, 음운기억, 빠른 이름대기, 음운인식의 수행력을 살펴보았다. 결과: 읽기부진 아동은 일반아동보다 음운해독과 문단글 읽기유창성에서 낮은 수행력을 나타냈다. 음운해독능력은 고학년에서 일반 아동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읽기유창성은 고학년에서도 일반아동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읽기부진 아동은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듣기 및 읽기이해에 어려움을 보였다. 읽기부진 아동은 어휘, 음운기억, 빠른 이름대기, 음운인식 모두에서 일반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읽기부진 아동은 고학년에 이르러 일반아동과 같은 음운해독력을 보이고 읽기유창성, 듣기 및 읽기이해에서는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이는 일반아동은 저학년에서 높은 음운해독력을 보이는 반면 읽기부진 아동은 고학년에 이르러 낱말의 음운해독력이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유창성은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에서 일반아동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글을 유창하게 읽는 것은 고학년까지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읽기부진 아동은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에서 듣기 및 읽기이해력에 어려움을 보여 고학년까지 이해의 문제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관련 능력인 어휘, 음운기억, 빠른 이름대기, 음운인식에서도 어려움을 보여 읽기평가 및 중재에 이러한 능력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읽기부진 아동의 평가 및 중재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that aids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early and high elementary school poor readers by examin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reading comprehension, decoding, reading fluency, listening comprehension non-word repetition, rapid automatic nam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vocabulary. Method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83 poor readers, 45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grade 1-3) and 38 children in high elementary school (grade 4-6), as well as 83 normal children in the same grade and residential area. Results: Poor readers had lower performance than normal children in decoding and text reading fluency. However, decoding ability did not reveal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or readers in the high elementary school grades compared to normal children, whereas the problem of reading fluency persisted into the high elementary school grades. Poor readers displayed difficulty in reading comprehension in both early and high elementary school grades. Poor read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normal children in all criteria including listening comprehension, vocabulary, non-word repetition, rapid automatic nam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In particular, only the poor readers in early elementary school displayed significantly lower skills in non-word repetition than normal children. Discussion & Conclusion: Poor readers in both early and high elementary school displayed difficulty in reading comprehension. They showed lower abilities than normal children in decoding, reading fluenc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which are necessary for reading comprehension. Decoding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poor readers in high elementary school compared to normal children, thus apparently the stage of learning to read is extended to the high elementary school grades. Because poor readers develop decoding skills, they do not show differences as compared to normal children in high elementary school, but since they face difficulties in reading fluency,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until high elementary school, indicates that poor readers experience difficulty in developing the comprehension stage into the high elementary school grades. Additionally, because poor readers display difficulty in vocabulary, non-word repetition, rapid automatic nam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which are related to word and text reading and also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se abilities should be included in reading evaluation and intervent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ich could aid in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poor read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배(Mibae Kima),배소영(Soyeong Paeb). (2012).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7 (4), 565-581

MLA

김미배(Mibae Kima),배소영(Soyeong Paeb).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7.4(2012): 565-5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