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朴忠佐 墓誌銘에 대하여

이용수 387

영문명
Examining the Memorial Inscription of Park Chung-Jwa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秦星圭(Jin, Sung-Kyu)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94號, 169~19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박충좌(1287∼1349) 묘지명은 새로 발견된 고려시대 금석문 자료이다. 묘지명 원 제목은 〈文齊公墓誌〉로 되어있지만, 일반인에게는 생소한 면이 있어 이 논문에서는 “박충좌 묘지명”으로 명명하였다. 文齊는 박충좌의 시호로 고려 후기 李齊賢과 함께 성리학 수용에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이 묘지명은 개성공단이 있는 開豊郡上道面粟村里에서 출토되어 2005년도에 한국으로 반입되었으나, 현재 실물의 행방은 전혀 알 수 없다. 20행852字로 이루어진 묘지명은 박락이 심하여 연구에 한계가 있었다. 판독이 불가능한 글자가 무려 191자나 되었지만, 오랜 복원 작업 끝에 16字만 미제로 남겨둔 채 분석하였다. 묘지명은 《高麗史》의 박충좌 열전보다 가계 상황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즉 박충좌의 어머니는 고려의 명문가인 李尊庇의 딸, 배위는 漢陽郡 夫人, 장인은 韓安之임을 알려주고 있다. 관력도 자세히 밝히고 있다. 고려시대 고관들의 묘지명이 가장 많이 매장된 곳은 개풍군으로 밝혀졌다. 묘지명에서는 ‘葬于粟村’이라 하였는데 조사 결과 ‘속촌’은 현재 경기도 개풍군 대성면 풍덕리의 옛 이름으로 밝혀졌다. 고려시대 고관들의 묘지명은 대체로 개경일대에 집중되어 있는데 박충좌 묘지명도 그 관례에 따라 고향인 함양으로 가지 않고 개경에 묻히게 되었다. 묘지명에 나타난 박충좌에 대한 인물 평가와 《고려사》열전의 인물 평가에서 차이를 찾기 어렵다. 즉 묘지명 인물 평가가 객관적임이 입증 되었다. 묘지명을 통해 興福都監설치연대를 수정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고려사》백관지에는 恭愍王때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지만 박충좌가 흥복도감에 임명된 것이 사망한 忠定王원년 이전이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A memorial inscription of Park Chung-Jwa(朴忠佐) is a newly discovered epigraph material that produced during the Koryo Dynasty.〈A memorial inscription of Munjegong〉(文齊公墓誌), but the original title, un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it called 'A memorial inscription of Park Chung-Jwa(朴忠佐墓誌銘)' in this paper. 文齊 is a posthumous epithet of Park Chung-Jwa. He made a big contribution to the embracing of Neo-Confucianism with Yi Je-Hyun(李齊賢). This memorial inscription was excavated Kaep'unggun Sangdomyun Sokchonli(開豊郡 上道面 粟村里), the Kaesong Industrial Region in the land. It was imported into Korea in 2005, but its whereabouts is absolutely unknown now. This memorial inscription is comprised of 20 lines, 852 characters. And In the study of this memorial inscription had limitations because of severe exfoliation. Originally, indecipherable characters of this memorial inscription was fully 191 characters. But at the end of long restore operation, they was analyzed leaving only 16 characters. This memorial inscription determines his family line more concretely than his biography in《Koryosa》(高麗史). It tells these facts. His mother was a daughter of Yi Zon-Bee(李尊庇) who the member of noble family, and a title of his wife was Hanyanggunbuin(漢陽郡夫人), and the name of his wife's father was Han An-Ji(韓安之). Plus which, it tells his career minutely. It turned out that Kaep'unggun was the place buried the most amount of memorial inscriptions of Koryo Dynasty's high government officials. This memorial inscription describes 'buried in Sokchon(葬于粟村)', an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Sokchon is an old place name of the present place named Gyeonggido Kaep'unggun Daesungmyun Pungdukli(京畿道 開豐郡 大聖面 豐德里). Generally, memorial inscriptions of Koryo Dynasty's high government officials was buried in the whole area of Gaegeong(開京). According to custom, a memorial inscription of Park Chung-Jwa was buried in the Gaegeong, not in his hometown Hamyang(咸陽). By this memorial inscription, a necessity for correct the year of established Heungbokdogam(興福都監) was arisen. The reason is here. In Baekguanzi(百官志) in《Koryosa》 described Heungbokdogam established in the period of King Kongmin. But according to this memorial inscription, he was appointed Heungbokdogam before the first year of King Chungjung that his year of death. The difference is hard to find between a character sketch of Park Chung-Jwa in his memorial inscription and his biography in《Koryosa》. It proves a character sketch in a memorial inscription of Park Chung-Jwa is an objective description.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高麗史》 列傳에 나타난 朴忠佐
Ⅲ. 朴忠佐 墓誌銘 발견 경위와 墓誌原文
Ⅳ. 朴忠佐墓誌 檢討
Ⅴ.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秦星圭(Jin, Sung-Kyu). (2012).朴忠佐 墓誌銘에 대하여. 백산학보, (94), 169-193

MLA

秦星圭(Jin, Sung-Kyu). "朴忠佐 墓誌銘에 대하여." 백산학보, .94(2012): 169-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