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廣開土太王碑의 書體

이용수 213

영문명
Handwriting Style of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고광의(Ko, Kwang Eui)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94號, 29~6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광개토태왕비 서체에 대한 논의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비의 書體가 형성되었던 시대를 전후한 書寫文化的배경을 살펴본 다음, 高句麗의 독특한 서체 양식으로서 ‘廣開土太王碑體’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개진해 본 것이다. 廣開土太王碑文字가 연구자 마다 상이하게 다양한 書體로 설명되는 것은 字形結構의 특징이 기존의 書體분류 방식으로는 적절하게 설명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字形특징과 함께 碑에 내포된 歷史文化的, 藝術的含意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書體를 命名하려는 시도는 廣開土太王碑의 서체 연구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廣開土太王碑의 字形結構의 형태적 측면에서는 대체로 古隸나 八分보다는 이들 개념을 포괄하는 ‘隸書’라 칭하는 것이 무난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碑의 문자에 내포된 예술성과 당시 고구려 사회에서 이 碑가 갖는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그 서체는 ‘廣開土太王碑體’라고 부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리고 광개토태왕체가 완성된 이후 고구려에서는 한 동안 이러한 유형의 서체들이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고구려 서사문화의 고유한 특징을 형성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xisting arguments of handwriting style on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 and the background of transcription culture before and after the age that the handwriting style of the epitaph was formed and then stated the researcher's opinion of 'handwriting style of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廣開土太王碑體)' as the unique handwriting style of Goguryeo. Why characters of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 were explained differently in various handwriting styles by researchers wa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features in the structure of characters with existing classification methods of handwriting styles properl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attempt to judge historical, cultural and artistic implication in the epitaph with the features of handwriting types and classify them may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researching the handwriting style of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 From the formative aspect of structure of characters on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 it is considered that it is easy to call it 'Yeseo(隸書)' which embraces all the concepts rather than 'Goye(古隸)' or 'Palbun(八分)', but in consideration of the artistry of epitaph characters and the specificity of this epitaph in Goguryeo society at that time, it will be valid that the handwriting style is called as 'handwriting style of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廣開土太王碑體)'. And these handwriting styles had been continuously used in Goguryeo for a while since the handwriting style of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 was completed and then it formed the unique features of transcription culture in Goguryeo.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廣開土太王碑 書體 연구사 검토
Ⅲ. 廣開土太王碑 書體 형성의 書寫文化的 배경
Ⅳ. 맺음말:‘廣開土太王碑體’의 완성과 유행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광의(Ko, Kwang Eui). (2012).廣開土太王碑의 書體. 백산학보, (94), 29-67

MLA

고광의(Ko, Kwang Eui). "廣開土太王碑의 書體." 백산학보, .94(2012): 29-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