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판소리 정책적 지원 방안 연구

이용수 712

영문명
A Study on Supporting Policy ‘PanSori’ as cultural content Source
발행기관
한국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박병호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콘텐츠』3호, 27~6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판소리가 지니고 있는 서사적 요소, 음악적 요소, 극적 요소로 인하여 각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장르로 계승ㆍ발전 되어왔다. 판소리는 자체로 우리의 전통문화예술이며, 소중히 보존해야할 의무도 있으나, 일반인들이 본래의 판소리를 접하고 향유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따라서 많은 대중들은 판소리에 대한 경험을 떠올릴 때, 명창들의 판소리 완창을 떠올리기 보다는 영화 〈서편제〉, 〈춘향전〉, 동화나 연극으로서의 〈심청전〉, 〈흥부전〉 등을 먼저 생각게 되는 경우가 많다. 2001년 〈반지의 제왕〉, 〈해리포터 시리즈〉가 전 세계적으로 돌풍을 일으킨 한해였다. 신화를 모티브로 뉴질랜드에 막대한 관광수입을 안겨준 〈반지의 제왕〉과 스토리텔링으로 영국 문화산업의 저력을 보여준 〈해리포터 시리즈〉의 성공은 콘텐츠 기반 경제의 가능성을 보여준 신선한 충격이었다. 국내에서도 ‘전통문화 소재’가 부각되어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을 추진하였으나 판소리가 직접적으로 연계되지는 않았다. 판소리의 대중화를 넘어 글로벌화를 생각한다면 그들의 정서에 익숙한 매체를 활용하여야 효과적이다. 우리의 전통 판소리가 유니버셜발레단에 의해 〈발레 심청〉과 〈춘향〉과 발레로 재창조되어 많은 해외 언론들로부터 호평을 받을 수 있었던 것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고 주목해야할 부분이다. 한편 문화콘텐츠는 경제적 가치 창출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 그 이면에는 가치 창출을 위해 재미와 감동을 줄 수 있는 콘텐츠를 창조하여 보다 많은 향유층을 확보해야 한다는 당면한 과제가 있는 것이다. 우리의 전통문화예술인 판소리를 활용하여 우리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경제적 이윤까지 확보할 수 있다면 가장 이상적인 형태일 것이다. 물론 문화콘텐츠로 재창조 된다고 하여 모든 상품이 성공을 거두는 것은 아니지만 콘텐츠 소재발굴에 목말라 하는 문화콘텐츠산업과 보편성이 높은 콘텐츠소재를 지니고 있는 판소리가 상호 보완해야 하는 당위성은 충분하다고 하겠다. 우리의 소중한 전통을 문화예술적 관점에서 보존하고 계승 발전시켜야 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다. 다만 그것이 예술적 가치로서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대중들에게 확산되고 재화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면 정책적 지원의 관점을 달리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외 사례를 통해 문화가 갖는 파급력에 대해 이미 알고 있지만 문제는 이것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작품화 하여 성공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전통문화의 대중화, 문화콘텐츠산업으로의 상업적 성공 모두 간단치 않다. 시장실패의 가능성도 그 만큼 높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에서 문화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할 분야로 정해 놓은 것이다. 미국은 거대 자본의 힘으로 문화콘텐츠산업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고, 프랑스의 경우 문화다원주의를 외치며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우리도 판소리를 비롯한 전통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로 재창조 하는 정책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면 문화의 전파와 경제적 부의 창출 모두 거머쥐는 날이 올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영문 초록

‘PanSori’s unique epic, musical and dramatic elements have been transferred to and influenced many different genres. As a Korean traditional form of art, it should be preserved for its own sake by Korean people, but it is not easy for the Korean public to have chances to enjoy the original PanSori. Hence, regarding experiences on PanSori, many people usually think of movies involving PanSori such as ‘서편제’ or PanSori stories adapted for nursery tales, plays and movies like ‘Simcheongjeon,’ ‘Heungbujeon’ and ‘Chunhyangjeon’. The year 2001 saw huge worldwide successes of ‘The Lord of the rings’ and ‘Harry Potter.’ Originating from an old English fantasy novel, the movie, ‘The Lord of the Rings’ earned New Zealand a fortune making the shooting sites famous to tourists, and ‘Harry Potter’ showed the strength of the Britain’s entertainment business in terms of storytelling. These were pleasant surprises indicating the prospects of the content-based economy. Similarly In Korea, although ‘Korean traditional subjects’ were recently highlighted as sources for the content industry an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promoted digitalization of Korea’s original cultural content, PanSori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oject. In order to make PanSori popular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globally, popular media in the global standard should be used effectively. In that sense, we need to seriously take the examples of ‘Ballet 심청’ and ‘춘향’ which were adapted from PanSori for ballet and praised by the foreign press. Meanwhile, needless to say, the purpose of making economic value underlies the content industry. Furthermore, for the purpose of economic value, the industry must produce fun and touching content and attract as many customers as possible. Hence, if Korea is able to spread its culture and as well as make economic profits with cultural products using PanSori, the cultural content will be an ideal example for Korea. Not every cultural product made from tradition will be successful, but regarding the current Korean cultural industry in need of fresh subjects, PanSori of many interesting and well-known subjects is complementary enough to the industry. Tradition should be preserved and developed further for a country’s artistic and cultural objectives. Moreover, beyond the artistic and cultural value, if the tradition can be shared by a larger public and eventually contributes to generatingeconomic value, the existing government policies for tradition may need to apply different approaches. There are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proving the influence of culture, but what matters is carefully commercializing the culture to be economically successful. Both popularizing and commercializing traditional cultures are not simple matters. Because the probability of a market failure on cultural products is high, the Korean government has even designated the industry as a new growth engine that needs to be fostered. The US accounts for around half the entire market for the cultural industry with the help of its dominant economic power while France supports its cultural industry without stopping claiming that developing France’s own cultural industry is necessary for cultural pluralism. If Korea also continues its government-level support for creating a variety of content utilizing many traditional sources including PanSori, the country will be sure to grasp chances for transmitting its culture and generating economic value.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판소리의 문화콘텐츠화 가능성
Ⅲ. 판소리의 정책지원 현황 및 향후 과제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병호. (2009).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판소리 정책적 지원 방안 연구. 문화예술콘텐츠, (3), 27-60

MLA

박병호.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판소리 정책적 지원 방안 연구." 문화예술콘텐츠, .3(2009): 27-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