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 이해의 차이 및 통합학급 상호작용의 실제

이용수 1585

영문명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Young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And A Study of Practices on Understand the Disabilities by Non-Disabled Young Children in the Inclusive Classroom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강상(Kang, Sang) 권정심(Kwon, Jung Sim) 신지혜(Shin, Ji Hye)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6권 제2호, 25~4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유아의 장애와 장애유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장애 통합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의 장애 통합교육 실시유무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와 장애유아의 이해정도를 측정하였으며, 더불어 실제 장애 통합학급에서는 어떠한 양상으로 상호작용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관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먼저 장애에 대한 인식 영역에서는 장애 통합학급의 일반유아가 비통합 학급의 일반유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장애유아에 대한 수용도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장애 통합학급에서 관찰된 상호작용의 양상은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 상호작용은 교사 중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향이 두드러졌으며,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거부적·공격적 태도가 빈번히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수용이 통합학급에서의 경험만으로는 큰 실효를 거둘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반유아가 장애유아를 친구로 수용하기에는 장애 통합학급에서의 경험만으로는 부족하며, 실제적인 교육적 접근과 새로운 교사의 역할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through young children's awarenes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e awareness and the acceptance of young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evaluated in the groups classified by the availability of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The actual social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tegrated class were examined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with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had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n young children without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ceptance rate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social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tegrated class had an obvious tendency to be occurred by a teacher's intervention. This result revealed the problem that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lack required social skills to participate in play, along with the fac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rate of young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Young children also showed both a considerate attitude and an alert/rejective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상(Kang, Sang),권정심(Kwon, Jung Sim),신지혜(Shin, Ji Hye). (2012).장애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 이해의 차이 및 통합학급 상호작용의 실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 (2), 25-46

MLA

강상(Kang, Sang),권정심(Kwon, Jung Sim),신지혜(Shin, Ji Hye). "장애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 이해의 차이 및 통합학급 상호작용의 실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2(2012): 25-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