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관학파의 학파적 특징과 티베트에서의 전개

이용수 404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of Madhyamaka and It’s Development in Tibet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김현구(Kim Hyungu)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37輯, 331~36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2.29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티베트 불교사 전전기에 나타나고 있는 중관학파는 경중관과 유가행중관파로만 분류된다. 후전기의 티베트 종의논사들은 짠드라끼르띠의 중관사상을 기준으로 인도 중관사상을 다시 해석하며, 이것이 티베트 불교사의 전환점이 된다. 이 과정에서 자립논증파와 귀류논증파라는 학파명이 등장한다. 특히 쫑카빠는 귀류논증파를 불교 최고의견해로 정립한다. 이 과정이 쫑카빠의 『정리대해』와 『의취선명』에서 자립논증파와 귀류논증파의 학파적 특징과 차이로 나타나고 있다. 쫑카빠 이후의 종의문헌가들은 쫑카빠의 정의에 따라 중관학파 가운데에서 귀류논증의 관점을 가장 높은 사상체계로 평가한다. 그러나 실제 인도 중관학파에서 쫑카빠가 강조하고 있는 것과 같은 자립논증파와 귀류논증파 사이의 대립 구도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유식학파와 중관학파라는 대립 구도를 바탕으로 학파적 독립성을 강화하고 있는 측면이 『입중론』에서 제시되고 있다. 그것은 유식학파를 하위의 종의로 내세우려는 중관학파의 요의ㆍ불요의설로 나타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바비베카와 짠드라끼르띠의 교판 형식의 ‘공통점’을 고찰하면서 자립논증파와 귀류논증파의 원형적 모습을 추적하였다. 요의ㆍ불요의에 바탕한 교판 형식은 티베트에서 자립논증파와 귀류논증파가 등장하기 이전 인도 중관학파에서 나타나고 있는 학파적 특징이다.

영문 초록

Yeshe sde, the first Tibetan doxographer in the eight-century, esteems the Yogācāra-Madhyamaka synthesis created by Śāntarakṣita and Kamalaśila as the highest Buddhist school of thought. Bhāviveka’s Sautrāntika-Madhyamaka is ranked second. Candrakīrti is not mentioned. The Indian and Tibetan evidence point to an eleventh-century resurrection of Candrakīrti’s writings in India and a twelfth-century birth of the Prāsaṅgika movement in Tibet. In the Tibetan Buddhist history of later diffusion(phyi dar), Tibetan Buddhist interpret of the idea of India Madhyamaka based on Candrakīrti’ views. It is a turning point in Tibetan Buddhist history, because it changes India Madhyamaka synthesis. In this process, the school name of Svātantrika and Prāsaṅgika appeared. Especially, the interpretation of Tsong kha pa serves a status of Prāsaṅgika as the highiest view of Buddhism. Tsong kha pa defines the difference and characteristics between Svātantrika and Prāsaṅgika on Tsa ba’i shes rab ces bya ba’i rnam bshad rigs pa’i rgya mtsho and dGong pa rab gsel. After Tsong kha pa’ definition, Tibetan doxographies esteem Prāsaṅgika as the highest Buddhist school of thought among the India Madhyamaka. However, the India Madhyamaka was originated from the debate with the Vijānavādin. Because it appears to build into Vijānavādin as subdivision of the India Madhyamaka.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common things’ with Bhāviveka and Candrakīrti’s type of doctrin. To do this, I show that it’s origins and characteristics as a prototype of Madhyamaka before the emergence of Svātantrika and Prāsaṅgika in Tibet.

목차

국문 요약
1. 들어가는 말
2. 중관학파의 학파적 특징-바비베카와 짠드라끼르띠의 교판을 중심으로
3. 『견차별』과 『종의보만』의 중관학파 체계
4. 자립논증파와 귀류논증파에 대한 쫑카빠의 정의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구(Kim Hyungu). (2012).중관학파의 학파적 특징과 티베트에서의 전개. 보조사상, 37 , 331-369

MLA

김현구(Kim Hyungu). "중관학파의 학파적 특징과 티베트에서의 전개." 보조사상, 37.(2012): 331-3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