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부모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관계 연구

이용수 6066

영문명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SES, Extracurricular Learning,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Achievement by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오숙영(Oh, Sook Young)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42輯, 203~243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상호 관계를 선형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개념화하고,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검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다변량회귀분석을 통하여, 모든 잠재변인의 하위요인들 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PLS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검정하는 것이다. 셋째, PLS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단순무선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오차 허용범위 5%, 신뢰수준 95%를 기준으로하여, 일반계 5개 고등학교 386명을 추출했다. 통계방법은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이 사용되었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version 20.0, AMOS version 20.0, Smart PLS Version 2.0이 사용되었다. 우선, 자기조절학습능력검사도구 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수렴 타당도와 집중타당도를 검정했다. 다음으로, 전체 잠재변인들 타당도는 PLS 구조방정식으로 측정모형(수렴타당도, 집중타당도)과 구조모형으로 검정했다. 연구결과, 하위요인 간 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 교육수준은 사교육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총수입도 사교육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교육기간은 인지, 동기, 행동의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 교육수준은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은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다섯째, 사교육기간은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부교육은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구조방정식 경로계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SES는 사교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둘째, 사교육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셋째, 부모 SES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이때, 사교육은 부모 SES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다섯째, 사교육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이때,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사교육과 학업성취의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부모 SES는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부모 SES와 학업성취 사이에는 사교육의 매개효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 사교육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이중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SES는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사교육을 경유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경유하여, 혹은 사교육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경유하여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parents’ SES, extracurricular learning,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and achievement as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n,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 and Goodness of Fit Index by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Specifically, the first step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easurement variables of latent factors by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d the second step is to testify Goodness of Fit Index and Path Coefficient of Structural Model by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bjects used are 386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academic high school according to 5% permitted range and 95% confidence range. The statistics methods used in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and the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is useful for formative indicators. The statistics programs used are SPSS version 20.0, AMOS version 20.0, and SmartPLS version 2.0.M3.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at include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re presented for validity of self regulatory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Measurement Model including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Structural Model of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presented for the validity of total lat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s are as followed. 1)Parents’ SES has an effect on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2)The extracurricular learning has an effect on 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3)Parenrs’ SES has an effect on 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S and self-regulatory. 4)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5)The extracurricular learning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elf-regulatory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achievement. 6)Parents’ SES has no effect on achievemen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the self-regulatory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achievement. As a results, although parents’ SES has no direct effect of achievement, it can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through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through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숙영(Oh, Sook Young). (2012).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부모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관계 연구. 교육문제연구, 42 , 203-243

MLA

오숙영(Oh, Sook Young).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부모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관계 연구." 교육문제연구, 42.(2012): 203-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