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坏窩 金相肅의「筆訣」考察

이용수 66

영문명
A Study on Kim Sang-suk’s Pilgyeol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김광욱(Kim, Gwang-wook)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0호, 157~17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2.28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후기 金相肅(1717-1792)의 「筆訣」에 대하여 분석하고 재조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의 본관은 光山, 자는 季潤, 호는 坏窩ㆍ草樓이며, 벼슬은 僉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그는 楷書와 半行을 잘 썼으며, 특히 細楷에 조예가 깊었다. 그의 작은 글씨는 鍾繇의 필법을 전형으로 삼았으며, 그의 글씨를 ‘稷下體’라불렀다. 그리고 서예이론서인 「필결」을 저술하여 당시 부족한 서예이론을 정립하는데 공헌하였다. 그는 반드시 글씨를 잘 쓰겠다고 하지 말고 먼저 書冊의 글씨를 익히되, 획마다 정성을 다하면 저절로 精하고 工하게 되어 비록 재주가 낮은 사람이라도자기의 필법으로 쓸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른바 ‘作字要敬’을 필법의 요결로 삼은 것이다. 김상숙의 書論인 「필결」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겠다. 제1장은 ‘心入于筆’로, 마음이 붓에 들어가야 한다는 것과, 제2장은 ‘審詳和緩’으로, 살피고 상세하며 온화하고 느긋하게 써야 한다는 것이다. 제3장은 ‘心乃一’로, 마음이 全一해야한다는 것과, 제4장은 ‘心傳于筆’로, 마음이 붓으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제5장은 ‘如火水木金’으로, 불ㆍ물ㆍ나무ㆍ쇠의 이치처럼 써야 한다는 것과, 제6장은‘涓涓ㆍ炎炎ㆍ曲直ㆍ從革’으로, 5장을 구체적으로 비유한 것이다. 제7장은 ‘自柔而小’로, 부드럽고 작은 글씨부터 써야 한다는 것과, 제8장은 ‘柔細生乎自然’으로, 부드럽고 작게 써야 자연스럽게 나온다는 것이다. 제9장은 ‘心發手行’으로, 마음이 발동하면 손이 저절로 움직인다는 것과, 제10장은 ‘點畫精則字精’으로, 점획이 정교해야 글자가 정교해진다는 것이다. 제11장은 ‘不以意造, 隨其勢也.’로, 의식적이 아니라 필세를 따라야 한다는 것과, 제12장은 ‘古法自至, 俗習自祛.’로, 古法에 저절로 이르고 俗氣를 버리라는 것이다. 제13장은 ‘從心則順’으로, 마음을 따르면 순조로워진다는 것과, 제14장은 ‘心之有歧, 神不止焉.’으로, 마음이 갈리면 정신이 모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15장은 ‘得於心, 不要求於外.’로, 마음에서 얻지 밖에서 구하지 않는다는 것과, 제16장은 ‘作字時敬, 字畫楷精.’으로, 글자는 敬하게 자획은 楷正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17장은 ‘一要心正, 二要手熟.’으로, 心正이 먼저이고 手熟이다음이라는 것과, 제18장은 ‘中外合成’으로, 마음과 몸이 합치되어야 완성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19장은 ‘惟在手熟’으로, 오직 손을 익숙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글씨 쓰는 비결을 붓과 마음이 하나가 되면, 쓰고 싶은 대로 쓸 수가 있다고 하였다. 즉 ‘心正’과 ‘手熟’의 조화로움을 필결의 관건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필결은 당시까지 정신우위에 치우친 서론과 서평들에 대하여 일침을 가하는 동시에 이상적인 서론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김상숙의 「필결」은 한국 서예이론사나 서예학사에서 마땅히 재평가되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analyze Pilgyeol written by Kim Sang-suk (1717-1792) in the late Joseon Dynasty. Kim Sang-suk’s family was originated from Gwangsan. His child name was Gyeyoon and penname was Baewa and Choru. He served as Cheomjijungchubusa (僉知中樞府事: a government post of the senior grade of the third court rank). He was good at writing in square and semicursive styles (楷書and 半行) and, in particular, famous for creating small characters (細楷). His small characters, which were similar to the calligraphic works of Jongyo (鍾繇), was called “Jikhache (稷下體)”. He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alligraphic theory at his time by writing a book of alligraphic principles entitled Pilgyeol. He taught the importance of attitude to thoroughly learn and practice the characters of old calligraphic masters first without being too eager for creating good calligraphic works. And, furthermore, he emphasized that anyone who put his heart and soul into each stroke would be able to eventually achieve his own calligraphic style because the exquisiteness and technique could be achieved naturally even if he was not talented enough. It is likely that he found the essence of calligraphic technique in so called ‘Jakjayogyeong (作字要敬): an attitude to lay stress on being prudent in thought and behavior when writing letters’. The content of Kim Sang-suk’s Pilgyeo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 1 ‘Simipupil (心入于筆)’ or the mind of writer must be inside the writhing brush; Chapter 2 ‘Simsanghwawan (審詳和緩)’ or one must be cautious, thorough, gentle and relaxed when writing; Chapter 3 ‘Simnaeil (心乃一)’ or one has to devote his whole-mind; Chapter 4 ‘Simjeonupil (心傳于筆)’ or one’s mind must be transmitted to the writing brush; Chapter 5 ‘Yeohwasumokgeum (如火水木金)’ or one must write based on the principles of fire, water, tree and metal; Chapter 6 ‘Yeonyeon (涓涓), YeomYeom(炎炎), Gokjik (曲直) and Jonghyeok (從革)’ in which the figurative descriptions of the subjects of Chapter 5 were presented; Chapter 7 ‘Jayuiso (自柔而小)’ or one must begin writing letters gently and in small size; Chapter 8 Yusesaenghojayeon ‘柔細生乎自然’ or only when one writes gently and in small size, he will be able to write naturally; Chapter 9 ‘Simbalsuhaeng (心發手行)’ or when one’s mind is aroused, the hand follows the heart by itself; Chapter 10 ‘Jeomhwajeongjeukjajeong (點畫精則字精)’ or only when each dot and stroke is written delicately, delicate letters can be achieved; Chapter 11 ‘Buieuijo, Sugiseya (不以意造, 隨其勢也) or one must not pursuit consciously but follow the force of strokes; Chapter 12 ‘Gobeopjachi, Sokseupjageo (古法自至, 俗習自祛)’ or one must learn the rules and techniques achieved by old masters, abandoning worldly temperament (俗氣); Chapter 13 Jongsimjeuksun ‘從心則順’ or everything will be going smoothly when following the mind; Chapter 14 ‘Simjiyugi, Sinbujieon (心之有歧, 神不止焉) or if one’s mind is separated, one’s spirit cannot concentrate on; Chapter 15 ‘Deukeosim, Buyogueooe (得於心, 不要求於外)’ or one must gain from the heart of the mind not from the outside; Chapter 16 ‘Jakjasigyeong, Jahoikgaejeong (作字時敬, 字畫楷精) or on must refrain oneself when writing letters and write strokes correctly and clearly; Chapter 17 ‘Ilyosimjeong, Iyosusuk (一要心正, 二要手熟)’ or one must straighten out his mind (心正) first and, then, practice skills and techniques (手熟); Chapter 18 ‘Jungoehapseong (中外合成)’ or when one’s mind and body are in accord, he can accomplish perfection; and lastly Chapter 19 ‘Yujaesusuk (惟在手熟)’ or one must devote himself solely to practicing skills and techniques. He explained the secret of calligraphic writing. According to him, if one’s mind is harmonized with the writing brush, he can write in whatever way he wants.

목차

<논문요약>
Ⅰ. 序言
Ⅱ. 坏窩 金相肅의「筆訣」分析
Ⅲ. 結語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광욱(Kim, Gwang-wook). (2012).坏窩 金相肅의「筆訣」考察. 서예학연구, (20), 157-178

MLA

김광욱(Kim, Gwang-wook). "坏窩 金相肅의「筆訣」考察." 서예학연구, .20(2012): 157-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