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唐初女性造像記略論

이용수 33

영문명
A General Discussion of Inscriptions Carved on Buddhist Sculptures by Female in Early Tang Dynasty
발행기관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저자명
漆德紅(Qi Dehong)
간행물 정보
『아시아연구』제15호, 53~8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廣州博物館에는 여러 개의 石像이 보존되어 있다. 그 중에서 武則天 大周 萬歲通天 2年의 女性造像題記가 주의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것을 기초로 하여, 唐初의 造像記에 대한 수집과 정리를 거쳐 女性과 관련된 造像記를 다음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여성을 造像의 主로 한 塑像 ; 여성이 闔家 혹은 集體에 참여한 造像으로, 供養人의 한 명으로 한 것 ; 像主는 남성이고, 造像의 직접적인 대상이 여성인 것 등이다. 이와 같이 造像 활동에 참여한 여성들은 항상 家庭을 중심으로 한 전통성을 나타냈고, 그들은 宗敎 信仰에 있어 塑像과 刻經 등의 방식을 거쳐 자신의 관심과 가정의 평화를 偶像에게 기탁하였고, 일상생활 속의 염원을 우상숭배를 통하여 정신적인 구원을 기원하였고, 造像이 祖上들을 보살피고, 생존해 있는 가족들과 一切의 蒼生을 보호해 주기를 염원하였다. 唐初, 政治ㆍ社會 환경의 변화는 造像記 중에서 統治者에 대한 祈福으로도 나타났다. 특히 唐高宗ㆍ武則天時期, 女性造像의 대상은 대부분 “皇帝”ㆍ“天皇天后”ㆍ“聖神皇帝” 등이었고, 造像願望 혹은 福報對象을 원할 경우에 그들에 대한 축복을 덧붙이거나, 朝廷ㆍ國家ㆍ政權에 대한 인정을 나타냈다. 여기에서 李唐政權의 變迭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시국을 반영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女性造像題記는 여성 자신과 가정ㆍ국가의 관계를 나타내어, 唐初, 일반 여성들의 종교 신앙의 공간을 이해하는 데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다.

영문 초록

There are scores of figures in the Guangzhou Museum, in which it is notable of the inscriptions on Buddhist images by female in 697 C.E.. Based on the collection and collation of the inscriptions on Buddhist images, related to the female epigraph of figure, are three types in early Tang Dynasty. As follows: the female as the main leader participated in sculpturing activities, or as one of image-makers taking part in these images, or the male presided the images, bur its direct object for women. The women who partaked the images activities tended to show the family-oriented tradition, they still maintained by the images and carving lection, and hoped their family and themselves has been healthy and peace which lies in the worship idols. In their daily, they had expected to attain spiritual redemption, and firmly believed that can bless dead relatives, family dependants and the masses from the images. They took images as the important means of hope and removing disaster. Since the politics, social environment has been changed, the women’s status have been improved in early Tang Dynasty. In this period, they prayed for the rulers through the inscriptions, such as the emperor(皇帝), Tianhuang Tianhou(天皇天后) and the Shengshen emperor(聖神皇帝), especially in the reign of Emperor GaoZong and Wu Ze-tian. The vows expressed by image-makers have been displayed the emotions about the imperial court and the national identity, from which we can seen the regime change of Tang Dynasty. Perhaps,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inscriptions by female will be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ommon women’s religious belief space

목차

〔提要〕
一、緣起
二、家庭、私人世界與國家認同
三、女性造像記所見唐初的時局變化問題
四、小結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漆德紅(Qi Dehong). (2011).唐初女性造像記略論. 아시아연구, (15), 53-80

MLA

漆德紅(Qi Dehong). "唐初女性造像記略論." 아시아연구, .15(2011): 53-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