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영재아와 일반아의 ‘가능한 자기’ 비교 연구

이용수 388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Possible Selves between 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ped for Self and Fearful Self
발행기관
한국영재교육학회
저자명
김승희(Kim, Seung-Hee) 한기순(Han, Ki-Soon)
간행물 정보
『영재와 영재교육』제10권 제2호, 127~15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아와 일반아의 ‘가능한 자기’를 비교 연구하여 초등 영재아와 일반아의 ‘기대하는 자기’와 ‘두려운 자기’는 무엇이며,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Markus와 Nurius(1986)가 제기한 ‘가능한 자기(Possible Selves)’개념에 근거하였으며, 수도권에 소재한 초등학교 영재아 80명과 일반아 8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법으로 설문지를 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아와 영재아의 ‘가능한 자기’중, 미래의 자기 자신을 생각하면서 자기에게 가장 일어날 거라고 생각하는 가능한 모습인 ‘기대하는 자기’에 대해서 일반아의 총 응답 수는 173개인데 반해, 영재아의 총 응답 수는 504개로 약 2.9배의 차이가 있었다. 영재아들은 자신의 미래에 대해 더 구체적이며 폭넓고 다양하게 기대하고 있었는데, 영재아의 ‘기대하는 자기’는 직업/진학, 물질적 성취와 지적 호기심/열정, 인류애, 가족 건강성과 삶의 여유, 명예, 사회공헌, 자기만족, 대인관계, 건강과 리더십, 배려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아의 ‘두려운 자기’와 관련한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영재아는 일반아의 응답에서 볼 수 없었던 ‘완벽주의’와 ‘사회공헌’ ‘인류애’에 관해 미래의 두려운 자신의 모습을 자주 언급하였다. 또한 ‘실패에 대한 두려움/불안’과 미래의 ‘대인관계’에서의 두려움도 일반 아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ssible selves based on the concept of ‘Possible Selves’ suggested by Markus and Nurius(1986).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ossible selves in both groups of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80 gifted 5th grade students and 80 general 5th grade students were asked to fill out an open-ended questionnaire used by Oyserman & Markus(1990) to elicit information about their possible selves. Inductive method and consensual qualitative analytic method were applied on these narrative data.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related to the ‘hoped for selves’ of the gifted, 504 responses which were 2.9 times more than the ones of the general students were obtained in categories such as good career, entering good school or college, financial success, intellectual curiosity/passion, humanity, family strength, leisure, honor, self-satisfaction, personal relations, health, leadership, and careful concern and so on. Second, among the ‘fearful selves’, ‘perfectionism’ and ‘social contribution’ and ‘humanity’ were often addressed by the gifted, where as those responses were not found in general students. In addition, ‘fear of the failure/anxiety’ and ‘future personal relations’ related to the fearful sel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eneral.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gifted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방법
Ⅱ. 연구 결과
Ⅲ.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희(Kim, Seung-Hee),한기순(Han, Ki-Soon). (2011).초등 영재아와 일반아의 ‘가능한 자기’ 비교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0 (2), 127-159

MLA

김승희(Kim, Seung-Hee),한기순(Han, Ki-Soon). "초등 영재아와 일반아의 ‘가능한 자기’ 비교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0.2(2011): 127-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